삼막사 사적비 ( )

목차
관련 정보
안양 삼막사 사적비
안양 삼막사 사적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사적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삼막사사적비(三幕寺事蹟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5년 06월 28일 지정)
소재지
경기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석수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사적비.
내용

1707년(숙종 33)에 건립된 사적비로 1985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방형의 대좌는 윗부분을 모깎이 형식으로 다듬어 그 위에 비신을 끼웠으며, 비신 위에는 지붕돌이 씌워져 있다.

비문은 다소 마멸된 부분이 있으나 신라 때 원효(元曉)대사가 처음 터를 잡고 띠집을 지어 수도 정진하던 것이 이 사찰의 시초임을 기록하고 있다. 그 후 통일신라 말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새 절을 지어 관음사라 부르기 시작하였고, 고려 말기에는 지공(指空) · 나옹(懶翁) 등의 선사들이 이곳에 머물러 선풍(禪風)을 진작시켰다고 한다.

또한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삼먁사 · 삼막사 등으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는 내용도 기록되어 있다. 지붕돌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네 귀의 추녀 끝은 반전하여 위로 들려 있다. 전체적으로 이 비석은 소박하고 평범한 조선시대의 석비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삼막사의 내력을 알려주는 유일한 자취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