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하여 사용한다. 한자어로는 노립(蘆笠) 또는 농립(農笠)·우립(雨笠)·야립(野笠) 등으로 불리운다. 재료에 따라 늘(부들)을 원료로 한 늘삿갓, 가늘게 쪼갠 댓개비(대오리)를 가지고 만든 대삿갓 및 세대삿갓 등으로 분류된다.
늘삿갓은 주로 경기도 일원과 황해도 일부에 걸쳐 선비들이나 부녀자의 내외용 쓰개로도 사용되었으며, 대삿갓은 남승들이, 세대삿갓은 여승들이 사용하였다. 삿갓은 그 형태로 볼 때 오늘날까지 상당히 원시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갓의 정수리에서 양태까지 민듯하게 내려와 모자집과 테의 구별이 없는 모습인 바, 입제(笠制)의 형태상 분류로는 다분히 원시형인 방립형(方笠型)에 속한다.
용도상으로 보면 삿갓은 발생 초기의 기능 그대로 실용적인 용구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대부분의 쓰개가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대사회적인 구실을 해 왔던 것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