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사 ()

목차
관련 정보
상무사
상무사
근대사
단체
1899년 상업과 국제무역, 기타 상행위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9년 상업과 국제무역, 기타 상행위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관.
개설

전국 보부상단(褓負商團)의 업무도 관장하였다. 원래 부상(負商)과 보상(褓商)은 각각 별개의 행상 조직으로 성장해 왔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서 전국적이고 단일적인 조직으로 합쳐지게 되었다.

연원 및 변천

1883년(고종 20) 혜상공국(惠商公局)을 설치하면서 부상단과 보상단을 통합하여 군국아문(軍國衙門)에 소속시켰다. 1885년에는 혜상공국을 상리국(商理局)으로 개칭하면서 부상을 좌단(左團), 보상을 우단(右團)으로 개칭하였다.

1894년 부상과 보상을 농상아문(農商衙門) 관할 아래 두었다가, 1897년황국중앙총상회(皇國中央總商會)에 소속시킨 뒤, 다시 황국협회(皇國協會)에 이속시켰다. 1899년 상무사가 발족됨에 따라 보부상을 여기에 이속시키면서 부상을 좌사(左社), 보상을 우사(右社)로 개칭하였다. 이후 전국의 모든 보부상단의 명칭은 좌사 · 우사로 불리게 되었다.

보부상은 1903년 공제회(共濟會)로 이관되었다가, 다시 상민회(商民會)를 거쳐 1904년 11월 26일진명회(進明會)로 이속되었다. 같은 해 12월 6일공진회(共進會)가 발족되면서 여기에 이속되었다.

국권 상실 후 일제가 경제적 독립성을 지니고 있던 보부상단을 탄압해 전국의 모든 보부상단은 거의 소멸하게 되어, 오늘날  충청남도 일부 지방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즉, 상무사 좌사와 상무사 우사의 명칭을 그대로 쓰고 있는 충청우도 저산팔구 상무사 좌사(忠淸右道苧産八區商務社左社)와 충청우도 저산팔구 상무사 우사가 그것이다.

이들은 저산팔구라 하여  충청남도 부여 · 정산 · 홍산 · 임천 · 한산 · 비인 · 남포 · 서천 등 한산모시 생산지를 중심으로, 이들 8개 읍을 장날을 따라 순차적으로 돌면서 행상을 하고 있다. 이 밖에 과거  충청남도 덕산군(지금의 예산군 덕산면) · 예산군 · 당진군(지금의 당진시) · 면천군(지금의 당진시 면천면) 일대에서 활동해왔던 예덕산 상무사 좌우사(禮德山商務社左右社)가 미미하게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예덕 상무사’ 건물이 1973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충청우도 저산팔구 상무사 우사를 통해 상무사 조직을 살펴볼 수 있다. 사(社)를 대표하며 제반 사무를 담당하고 총회를 소집, 사회를 보는 접장(接長), 사의 고문으로서 최고의 명예직인 영위(領位), 각 읍 대표의 고문인 반수(班首)가 있으며, 부반수(副班首) · 부임(副任) · 본방(本房) · 한산도공원(閑山都公員) 등이 있다.

임원은 중점(中點) 또는 공사(公事)라는 정기총회에서 민주적인 투표로 선출되었다. 접장의 경우를 살펴 보면, 8읍을 2구(區)로 나누어 각 구 교대로 격년제로 입후보하였다. 예를 들면, 부여 · 정산 · 홍산 · 임천을 1구로 하고, 한산 · 서천 · 비인 · 남포를 1구로 정하여 매년 교대하여 선출하되, 금년에 부여 후보가 접장에 당선되면 내후년은 부여를 제외한 나머지 3읍에서 각각 1명씩 후보를 내어, 3명 중 1명을 총회에서 선출하였다.

참고문헌

『만기요람(萬機要覽)』
『한국근대경제사연구』(유원동, 일지사, 1977)
『부보상』(박원선, 한국연구원, 1968)
『조선보부상고』(유자후, 정음사, 1948)
「혜상공국서(惠商公局序)」
「한성부완문(漢城府完文)」
「상무사장정(商務社章程)」
「상무사장정부칙(商務社章程附則)」
「상무협회규칙(商務協會規則)」
「대한상무조합규칙(大韓商務組合規則)」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