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략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연속된 말 속에서 단어나 음절들 사이의 소리를 줄이는 음운현상. 탈락.
이칭
이칭
탈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연속된 말 속에서 단어나 음절들 사이의 소리를 줄이는 음운현상. 탈락.
내용

탈락(脫落)이라고도 한다. 이 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주된 이유는 발음을 쉽게 하려는 데에 있다. 이와 반대되는 현상을 첨가(添加)라고 한다. 생략되는 위치에 따라 어두음(語頭音) 생략, 어중음(語中音) 생략, 어말음(語末音) 생략 등으로 나뉜다.

어두음 생략은 ‘리상(理想)→이상, 량심(良心)→양심’ 그리고 ‘녀자(女子)→여자, 녕일(寧日)→영일’ 등에서 보듯이, 한자어의 첫소리 ‘ㄹ’이나 ‘ㄴ’이 어두에서 생략되는 것과 같은 현상을 말하며, 어중음 생략은 역사적으로 ‘골ᄑᆞ다(←곯+ᄇᆞ+다)’가 ‘고프다’로 변하면서 어중의 ‘ㄹ’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어말음 생략의 역사적 예로는 ‘거우루[鏡]’가 ‘거울’로 변한 예를 들 수 있다.

생략현상 가운데 한 단어 속에 같거나 비슷한 음이 중복되어 나타날 때, 그 하나를 생략시키는 현상을 동음생략(同音省略, haplology)이라고 한다.

국어에서의 동음생략은 ‘건너어→건너, 만나아→만나, 가았다→갔다, 서었다→섰다’ 등에서 보듯이, ‘아’나 ‘어’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 어미 ‘-아·어’나 선어말어미 ‘-았·었-’의 ‘아·어’가 생략되는 현상과, ‘목과(木瓜)→모과, 간난(艱難)→가난’ 등에서 보듯이, 같은 자음이 연결되거나 되풀이될 때 한 자음이 생략되는 현상 등이 있다.

이 밖에 모음생략으로는 ‘어’생략, ‘으’생략이 있고, 자음생략으로는 ‘ㄹ’생략, ‘ㄴ’생략, ‘ㅎ’생략 등과 자음군(子音群) 단순화가 있다.

‘어’생략은 어간이 ‘에, 애’로 끝날 때 어미나 선어말어미의 ‘-어’가 생략되는 현상(개어→개, 세어→세)이며, ‘으’생략은 종래 ‘으’ 불규칙용언으로 처리되어 왔던 ‘끄다, 예쁘다’ 등의 어간 끝소리 ‘으’가 ‘-어’ 앞에서 생략되는 현상(끄어→꺼, 예쁘니→예뻐)이다.

‘ㄹ’탈락은 ‘바늘+질, 딸+님, 불+삽’ 등과 같은 파생어 구성에서 ‘ㄹ’이 ‘ㄴ, ㄷ, ㅅ, ㅈ’ 앞에서 생략되어 ‘바느질, 따님, 부삽’ 등과 같이 되는 현상과, 종래 ‘ㄹ’불규칙용언으로 처리되어 왔던 ‘살다, 날다’ 등의 어간의 끝소리 ‘ㄹ’이 ‘-오, -니, -시-, -ㅂ니다’ 앞에서 생략되는 현상(살다 ; 사오, 사니, 사시니, 삽니다) 등을 포함한다. 또한 한자어의 첫소리 ‘ㄹ’이 어두에서 생략되는 현상(리상→이상)도 ‘ㄹ’ 생략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ㄴ’ 생략은 한자어의 첫소리 ‘ㄴ’이 ‘이’나 [j]앞에서 생략되는 현상(녀자→여자)을 말한다. ‘ㅎ’생략은 받침 ‘ㅎ’이나 두 받침 중의 ‘ㅎ’이 모음이나 ‘ㄴ, ㄹ’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생략되는 현상(좋으니→[조으니], 앓는다→[알는다]·[알른다])이며, 자음군 단순화는 두 받침 가운데 하나가 생략되는 현상으로서 ‘값→[갑], 앉는다→[안는다], 많으니→[마느니]’ 등이 그 예이다.

이상은 음운의 변동이나 변화의 한 하위현상으로서 생략을 다룬 것이지만, “집에 간다고 하더라.”와 같은 통사론적 구성에서 ‘-고 하-’가 떨어져 “집에 간다더라.”와 같이 되는 이른바 ‘-고 하-’ 생략현상이 국어에서 광범위하게 실현되고 있다.

한편, 주어나 목적어 등의 문장성분이 생략되는 현상도 있는데, 이 현상은 앞선 대화나 문맥에서 이미 언급된 대상이 주어나 목적어일 경우, 그리고 상황으로 보아 그 주어나 목적어가 명백할 경우 일어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철수가 무엇을 먹었나요?”와 같은 질문에 “밥을 먹었어요.”라고 대답하였거나, “누가 밥을 먹었나요?”와 같은 질문에 “철수가 먹었어요.”라고 대답하였다고 할 경우, 각기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요문장 성분의 생략현상은 국어의 한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어음운론』(이기문·김진우·이상억, 학연사, 1984)
『국어음운학』(허웅, 샘문화사, 1985)
『고등국어문법』(임홍빈, 교학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