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암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서암유고
서암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진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710년(숙종 36) 아들 택(澤)과 윤(沇)이 편집,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남구만(南九萬)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두에 총목차가 있고, 권상·하에 시 286수, 여문(儷文) 3편, 애사 2편, 잡저 2편, 과제시(科製詩) 5수, 과제표(科製表) 5편, 부록에는 갈문(碣文) 1편, 행장 1편, 만장 16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대부분이 시로 구성되어 있고 장편시가 많아서 저자의 시에 대한 역량을 알게 한다. 이 중 「신월(新月)」과 「추야(秋夜)」 등에서는 아름다운 경치와 젖어드는 감상이 잘 표현되어 있고, 「무검(撫劒)」과 「추야만음(秋夜漫吟)」에서는 의리를 위하여 자기를 희생시키려는 충성심이 잘 나타나 있다.

장편시인 「궁차익견(窮且益堅)」은 공부할 때 처했던 자기의 환경을 시로 읊은 것으로, 곤궁해질수록 다음에 다가올 희망을 위하여 더욱 분발하게 된다는 자기의 철학관의 표현이며, 「술회자서(述懷自序)」는 자서전의 성격을 띤 것으로 일생동안 겪어온 여러 사연들을 체계 있게 순서대로 적고 자기의 사상과 비평을 곁들인 역작이라 하겠다.

또한, 「농경(聾警)」은 늙어서 남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인생 황혼의 서글픔을 잘 표현한 역작이다. 이러한 시들은 조선 후기의 한시에 대한 경향과 흐름의 방향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잡저인 「서암형승록(西巖形勝錄)」은 자기가 살고 있는 서암의 경치가 일품임을 자랑한 것으로 주위의 경관이나 산수가 잘 조화되도록 묘사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