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경 ()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이칭
이칭
서원소경
정의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개설

신라의 5소경(小京) 가운데 하나로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통치거점이다.

내용

서원경 지역은 옛 백제 땅으로 한강하류에서 소백산맥의 추풍령을 통하여 호남과 영남으로 갈라지는 교통로상의 요충지에 위치하였기에 삼국시대부터 주요 쟁패지였다. 따라서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이곳을 지방통치거점의 하나로 확정한 것은 예견된 조치였다.

『삼국사기』 직관지 외관조에 따르면 소경의 장관인 사신(仕臣) 또는 사대등(仕大等)의 관등이 급찬(9관등)에서 파진찬(4관등)으로 규정되어 있어 최소한 6두품 이상의 신분을 지닌 고위관료만이 임명될 수 있었다. 실제로 685년(신문왕 5) 서원경이 처음 설치된 후 사신에 임명된 인물이 아찬 김원태(金元泰)로서 후일 성덕왕(聖德王)의 첫 왕비가 된 성정(엄정)왕후의 아버지라는 사실에서 당시 서원경이 지방통치제도상에서 차지하던 정치적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서원경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문헌에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명확히 하기는 힘들지만 고고학적 발굴과 유적조사를 통해서 추정해 볼 수 있다. 1980년대 청주 지역에 대한 학술조사가 진행되어 단편적이지만 새로운 사실들이 추가로 확인되고, 1992년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서원경 전반에 대한 심층연구가 추진되어 연구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2017년 현재 우암산성(와우산성), 상당산성, 청주읍성, 부모산성, 구녀산성 등 여러 곳의 성곽유적이 서원경의 치소(治所)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사량부속장지일(沙梁部屬長池馹)”이라는 명문이 발견된 상당산성이나 "탁부(啄部)"명 기와가 출토된 우암산성이 유력하다. 사량부나 탁부가 신라의 왕도(王都) 6부 가운데 하나이고 소경에 설치되었을 6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성 내부와 주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이 좀 더 풍부하게 출토되고 있는 우암산성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우암산 서남쪽 일대가 소경의 중심지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곳은 고려시대 이래로 줄곧 중심부였고, 일제강점기에는 훼철된 청주읍성이 위치했던 곳이기 때문이다. 물론 확증할 만한 고고학적 자료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서원경의 명칭과 관련해서는 『삼국사기』 지리지에 "신문왕 5년에 처음으로 서원소경(西原小京)을 설치하였으며 경덕왕이 서원경으로 개칭하였다(神文王五年 初置西原小京 景德王改名西原京)"고 하여 757년(경덕왕 16) 군현개편 당시 서원경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서원소경과 서원경이 혼용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685년(신문왕 5) 3월에 "서원소경을 설치하였다(置西原小京)"고 하여 분명히 서원소경이라 하였지만, 689년(신문왕 9)에 “서원경에 성을 쌓았다(築西原京城)”고 하여 두 지명이 모두 기록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서원경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이 신라촌락문서이다. 신라촌락장적 또는 정창원문서라고도 불리우는 신라촌락문서는 1933년 일본 나라[奈良]의 동대사(東大寺)에서 발견되고 1953년 학계에 소개된 이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2장 남짓한 문서에 통일신라의 4개 촌락에 대한 제반 사항이 상세히 적혀 있는데, 여기에 “서원경□□촌(西原京□□村)”이라는 표현이 실려 있다. 서원경□□촌의 위치로는 충청북도 청원군 초정리로 보는 견해와 청주 시내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이 역시 명확한 사료적 근거가 제시된 것은 아니므로 이상의 추론은 힘든 상태이다. 신라촌락문서의 기재방식을 통해 서원경과 같은 5소경이 왕경(王京)의 분신으로서 독자적인 행정단위로 기능했음은 확인할 수 있지만 더불어 영현(領縣) 없이 바로 촌락을 직접 지배하는 형태를 취했던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변천과 현황

685년에 서원소경이 처음 설치되었으며, 689년 서원경 성이 축조되었다. 757년 군현개편 당시 서원경으로 개칭되었으며, 보림사 북탑지(北塔誌)의 기록을 통해 신라 하대에 들어 서원부(西原部)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수도의 편재성을 보완하려고 했던 신라중앙정부의 집권력 강화의지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서영일, 학연문화사, 1999)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3)
『상당산성 지표조사보고서』(충북대박물관, 1982)
『우암산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충북대박물관, 1980)
「신라 9주5소경의 도시구조 연구」(황인호, 『중앙고고연구』 15, 2014)
「신라 소경의 설치와 그 기능」(전덕재, 『진단학보』 93, 2002)
「한국 고대의 지방도시: 신라 5소경을 중심으로」(여호규, 『강좌 한국고대사』 제7권, 2002)
「신라의 청주지역 진출」(양기석, 『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 2000)
「신라 5소경의 설치와 서원소경」(양기석, 『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 2000)
「신라 서원소경의 유적과 유물」(강민식, 『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 2000)
「서원소경의 위치와 구조」(차용걸, 『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 2000)
「신라 촌락문서에 보이는 촌락의 위치와 성격」(이우태 , 『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 2000)
「와우산토성」(이원근, 『한국의 성곽과 봉수』, 1989)
「통일신라시대의 지방도시에 대한 연구」(박태우, 『백제연구』 18, 1987)
「신라 중고기 州制의 형성과 운영」(강봉룡, 『한국사론』 16, 1987)
「신라소경고」(임병태, 『역사학보』 35·36, 1967)
「新羅九州五京攷」(藤田亮策, 『朝鮮學報』 5, 1953)
집필자
한준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