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죽당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서죽당유고 / 맥랑
서죽당유고 / 맥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양상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양상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석인본. 1953년 손자 재희(在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양회갑(梁會甲)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2에 시 504수, 권3에 서(書) 7편, 서(序) 3편, 권4의 부록에 제공창수(諸公唱酬)·만사·제문·행장·가장·묘표·실적기(實蹟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서 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를 특징적으로 분류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유거(幽居)」·「임거(林居)」·「술회(述懷)」 등 은일적인 기분이나 감회를 읊은 것, 「어화(漁火)」·「목적(牧笛)」·「견낙조(見落照)」 등 전원적인 서정을 읊은 것, 「계(鷄)」·「석류(石榴)」·「도화(桃花)」·「국화(菊花)」·「영죽(詠竹)」·「추월(秋月)」 등 영물(詠物)의 시, 「청선(聽蟬)」·「전춘(餞春)」·「맥랑(麥浪)」 등 서정적 감회나 계절적 감각을 표현한 것, 「완내장사(翫內藏寺)」·「등운문암(登雲門菴)」 등 서경(敍景) 또는 경치의 아름다움을 예찬한 것, 「주금(酒禁)」 등의 자경(自警)·감계(鑑戒)의 뜻을 담은 것, 「문왜서이언행관(聞倭書易言行官)」과 같이 국가의 운명에 대한 울분과 개탄을 표현한 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맥랑」은 보리가 노랗게 익어 남풍(南風)에 물결치는 풍경을 실감나게 묘사한 것으로, 수준 높은 표현감각을 엿볼 수 있다. 「문왜서이언행관」에서는 우국충정과 남아로서의 기골을 표현하고 있어, 저자의 또 다른 일면을 보게 하는 작품이다.

서에는 스승·친지에 대한 문후(問候)가 대부분이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