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척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의 관직.
내용

현재까지 발견된 남산신성비 가운데 제4비에만 서척이라는 직명이 보이고 있다. 다른 남산신성비에서는 문척(文尺 : 제1·2·3비)이라는 직명이 보이고 있는데 이 역시 서척과 같은 직명으로 생각된다.

비문에 보이는 장척(匠尺)·석착상인(石捉上人)·소석착상인(小石捉上人) 등이 성을 축조하는 과정에 담당한 직임이었다는 사실을 참고하면 서척 역시 성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에 필요한 글자와 남산신성비 제4비 자체의 글을 쓰는 일을 담당한 직명이라 생각된다.

남산신성비의 비문이 일정한 양식으로 되어 있는 점에 유의하면 특별히 비문을 짓는 사람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문 자체를 서척이 지었다고 생각할 수는 없다. 서척은 단지 신라정부가 제시한 비문양식에 맞추어 작업한 사람의 출신지명·직명·인명·관등명을 적어넣어 비문을 완성하고 또 그것을 돌에 써서 새기는 작업일체를 담당한 임시 직명이었다고 하겠다.

이에 서척은 남산신성비 제1·2·3비에 보이는 문척이나, 천전리서석의 ‘작서인(作書人)’, 단양신라적성비와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의 ‘서인(書人)’, 경주 명활산성비의 ‘서사인(書寫人)’ 등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 임시직명이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역주한국고대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1992)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를 통하여 본 신라(新羅)의 지방통치체제(地方統治體制)」(이종욱, 『역사학보』 64,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