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두동면 천전리에 있는 <울주천전리서석 蔚州川前里書石>에 보인다. 이 서석에는 연도를 달리하는 글귀가 여러 개 기재되어 있는데 기미년(539) 추명(追銘)에 ‘예신(禮臣)’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명문에 따르면 을사년(525)에 법흥왕의 동생이자 진흥왕의 아버지인 사부지갈문왕(斯夫智葛文王 : 立宗葛文王)과 매(妹)와 어사추안랑(於史鄒安娘) 3인이 천전리 계곡으로 놀러왔으며, 기미년(법흥왕 26년, 539)에 다시 놀러온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이들을 수행하여 온 사람들의 직명이 원명(原銘)에 작공인(作功人), 작식인(作食人), 작서인(作書人) 등으로 보이고, 추명에 작공인(作功臣), 예신(禮臣), 작식인(作食人) 등이 나타난다.
글자상으로 보아 작공인과 작공신, 작식인과 작식인, 작서인과 예신은 같은 직임을 맡아 수행한 임시 직명(職名)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작서인과 예인을 같은 직임을 맡았던 사람이라 보면 작서인이 명문을 짓고 새긴 사람이므로 예신도 같은 직임을 담당했던 사람에게 붙여진 임시적인 직명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작서인과 예신으로 그 직명을 달리하고 예신이 추명에 나오는 사실에 유의하면, 예신은 명문을 짓고 새기는 일을 포함하여 행차시 의례 일체를 담당한 임시관직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