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의 관직.
내용

561년에 세워진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에는 '비자벌정조인(比子伐停助人)'으로,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에는 그냥 ‘조인(助人)’으로 새겨져 있다.

그러나 마운령비에 '비지사간조인사탁부순지나말(非智沙干助人沙喙部舜知奈末)'이라고 한 부분에서, 비록 비문의 마멸로 인해 보이지는 않지만, 561년 당시에는 조인 앞에 비지사간(非智沙干)의 직명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창녕비에 당시 이 지역에 편성된 6정 군단 가운데 하나인 하주정(下州停)의 소재인 '비자벌정조인(比子伐停助人)'이 기재된 점으로 보아, 마운령비에 기재된 비지사간의 직명은 비리성군주(碑利城軍主)이거나 비열홀군주(比烈忽軍主)였을 가능성이 높다.

신라 금석문에서는 같은 직명이나 지명을 나란히 기재할 경우, 처음 나오는 인물에만 모두 기재하였다. 그리고 나중에 나오는 인물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마운령비에 기재된 ‘조인사탁부순지나말’ 역시 비열홀정 조인이었다고 판단된다.

황초령비와 마운령비의 수가인(隨駕人)이 같으므로 황초령비 마지막 부분의 ‘조인사탁부윤지나말’ 역시 '조인사탁부순지나말'과 동일인이다. 단지 두 비문의 글자가 다르게 보이는 것은 비문의 마멸 혹은 탁본상의 결함 때문이다.

이에 두 비문의 글자가 같고 마운령비가 보다 선명하다는 점에서 창녕비·마운령비·황초령비에 보이는 '조인(助人)'은 모두 6정 군단의 주둔지에 배치된 관직의 직명임을 알 수 있다.

6정에는 주(州)의 장관이며, 군단장인 군주(軍主)가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조인은 군주를 보좌하는 관직으로서, 『삼국사기(三國史記)』 직관지 외관조에 보이는 '주조(州助)'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역주한국고대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한국고대사회연구소, 가락국사적개발연원, 1992)
「신라(新羅) 중고(中古)의 국왕근시집단(國王近侍集團)」(이문기, 『역사교육론집(歷史敎育論集)』5,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