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삼가염송집 ()

불교
문헌
1246년(고종 33)에 승려 구암(龜庵)이 혜심이 편찬한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으로부터 설두중현(雪竇重顯), 천동굉지(天童宏智), 원오극근 (圜悟克勤) 세 사람의 염(拈)과 송(頌)을 발췌하여 간행한 공안집. 불교서.
이칭
이칭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약칭
삼가염송(三家拈頌)
문헌/고서
편찬 시기
1246년
간행 시기
1246년(고려 고종 33), 1464년(조선 세조 10) 번각
편자
구암(龜庵)
권책수
6권
권수제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판본
목판본
표제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소장처
기림사
내용 요약

『선문삼가염송집(禪門三家拈頌集)』은 1246년(고종 33)에 수선사 승려 구암(龜庵)이 제2세 혜심(慧諶)이 편찬한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으로부터 설두중현(雪竇重顯), 천동굉지(天童宏智), 원오극근(圜悟克勤) 등 북송대의 대표적 선승 세 사람의 염(拈)과 송(頌)을 발췌하여 간행한 불교 공안집이다.

정의
1246년(고종 33)에 승려 구암(龜庵)이 혜심이 편찬한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으로부터 설두중현(雪竇重顯), 천동굉지(天童宏智), 원오극근 (圜悟克勤) 세 사람의 염(拈)과 송(頌)을 발췌하여 간행한 공안집. 불교서.
개설

『선문삼가염송집』은 구암(龜庵)이 수선사 제2세 사주 진각 국사 혜심(慧諶, 1178-1234)이 편찬한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30권 가운데에서 중국 송대의 선승인 설두중현(雪竇重顯, 980∼1052), 천동굉지(天童宏智, 1091∼1157), 원오극근(圜悟克勤, 1063∼1135) 세 사람이 붙인 염(拈)과 송(頌)을 모아 편집한 책이다. 『선문염송집』에 수록된 주2 1,463칙 중 세 사람의 염과 송이 붙어 있는 496칙의 공안을 발췌하고 각 공안별로 세 사람의 염과 송을 제시하였다. 정식 서명은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이며, 전체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선문염송집』은 1226년(고종 13)에 처음 간행되었고, 이후 1243년(고종 30)에 혜심을 이어 수선사 주3가 된 청진국사(淸眞國師) 몽여(夢如, ?∼1252)가 347칙의 공안 및 염 · 송 등을 추가하여 재간행하였다. 이 증보된 책을 토대로 구암이 설두중현, 천동굉지, 원오극근 세 사람의 염송을 발췌하여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당시 무인 집정인 최우(崔瑀, ?-1249)에게 부탁하여 1246년(고종 33)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혜심과 몽여의 가르침을 받았던 천영(天英, 1215-1286)이 지은 후서(後序)에 편찬 및 간행 경위가 서술되어 있다. 간행 시기나 판의 형태로 볼 때 『선문염송집』과 마찬가지로 고려 대장경 보판의 일부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집자인 구암에 대해서는 당시 수선사 사주로서 『선문염송집』을 증보하였던 몽여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지만, 몽여가 구암으로 불렸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천영이 후서에서 편찬자를 구암(龜庵) 노선(老禪)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을 보면 구암은 수선사 승려로서 천영의 선배였던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1246년에 간행된 초간본은 현존하지 않는다. 이 초간본을 가지고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중수(重修)한 것이 경주의 기림사(祇林寺) 대적광전 비로자나불 복장에서 확인되었다. 이 간경도감 간본을 주1으로 한 활자본『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구암이 『선문염송집』에서 설두중현, 천동굉지(굉지정각), 원오극근 세 사람의 염송만을 뽑아 별도의 책을 만든 것은, 이 세 사람이 송나라 때의 공안선을 대표하는 선승들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설두중현과 천동굉지는 각기 옛 조사들의 대표적인 공안 100칙(則)을 모으고 거기에 자신의 평가를 붙인 『송고백칙(頌古百則)』(『설두송고(雪竇頌古)』와 『굉지송고(宏智頌古)』)을 편찬하였고, 원오극근은 설두의 『송고백칙』을 대상으로 하여 거기에 자신의 평가를 덧붙인 『벽암록(碧巖錄)』을 남겼다. 이 책들은 당대의 가장 대표적인 공안집으로 중국은 물론 고려 불교계에서도 널리 읽혔다.

한편 이 세 사람은 각기 운문종(雲門宗), 조동종(曹洞宗) 그리고 임제종(臨濟宗)에 속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염송은 각 종파의 선풍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천영이 쓴 권말의 후서에서는 여러 스님들의 염송 중에서도 세 사람의 염송이 가장 뛰어나다고 하면서 “설두는 말이 심오하고 이치의 헤아림이 크며, 천동은 말이 정밀하여 아주 작은 것도 잘 분석해 내며, 원오는 마음의 활용이 드넓고 칭찬과 비판이 여유있다(如雪竇言奥而理量大 天童語精而秋毫分 圜悟機曠而褒貶足)”라고 평가하고 있다.

『선문삼가염송집』에는 『선문염송집』에 수록된 설두중현과 천동굉지의 염송은 모두 수록되어 있지만, 원오극근의 염송 중에서는 일부가 누락되었다. 『선문염송집』에서는 원오극근을 원오근(圜悟勤) · 불과근(佛果勤) · 장산근(蔣山勤) · 숭녕근(崇寧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이 중 숭녕근(崇寧勤)의 것으로 제시된 염송들이 빠져 있다. 편찬자 구암이 숭녕근(崇寧勤)을 원오극근과 다른 인물로 생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선문삼가염송집』은 고려 시대 불교계에서 공안선, 특히 설두중현과 천동굉지, 원오극근의 공안 평가에 높은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선문염송집』과 마찬가지로 수선사의 승려가 편찬한 것으로 당시 수선사에서 공안 탐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보여 주는 자료로서도 의미가 있다. 또한 고려 대장경 보판의 일부라는 점에서 서지학적으로도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1992)

단행본

조명제, 『선문염송집 연구: 12~13세기 고려의 공안선과 송의 선적』(경진출판, 2015)

논문

조명제, 「수선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삼가염송집』」(『한국선학』41, 2015)
채상식, 「수선사간 『선문염송삼가집』의 사상적 경향」(『부산직할시립박물관연보』11, 1988;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재수록)
주석
주1

문서의 초고(草稿). 우리말샘

주2

공무(公務)에 관한 문안(文案). 우리말샘

주3

절의 온갖 일을 맡아 이끌어 가는 사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