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영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고려 후기, 수선사 5세로 선종을 주도한 승려.
이칭
시호
자진원오(慈眞圓悟)
충경(冲鏡), 회당노인(晦堂老人), 자인실노인(慈忍室老人)
내로(乃老)
별명
단공(旦公)
법명
안기(安其), 안차(安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15
사망 연도
1286
출생지
전라북도 남원시
내용 요약

천영(天英, 1215~1286)은 수선사 5세이며, 혜심의 문하로 출가하여 몽여와 혼원의 가르침을 받은 선승이다. 그는 최우, 최항 등 최씨 정권의 후원을 받았고, 창복사, 선원사 등에서 활동하면서 최씨 정권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최씨 정권이 몰락하고 왕정 복고가 이루어지면서 수선사도 퇴조하고 천영도 중앙 정계와 불교계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한편 천영이 불교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그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천영으로 인해 문음의 혜택을 받았던 사실이 주목된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 수선사 5세로 선종을 주도한 승려.
내용

천영(天英, 1215~1286)은 주1이며, 안기(安其), 안차(安且)라 고쳤으며, 자(字)는 내로(乃老), 자호는 회당노인(晦堂老人), 자인실노인(慈忍室老人)이다. 호는 충경(冲鏡)이고, 시호는 자진원오(慈眞圓悟)이며. 단공(旦公)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속성은 양씨(梁氏)이며, 아버지는 전라북도 남원의 토성(土姓)양택춘(梁宅椿), 어머니는 황해도 서흥 출신의 김씨이다.

천영은 1229년(고종 16)에 15세로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의 문하에서 출가하였다. 1233년에 19세로 담선법회(談禪法會)주2이 되었으며, 1236년에 승과에 응시해 상상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수선사 3세인 청진국사 몽여(淸眞國師夢如)의 가르침을 받았고, 4세인 진명국사 혼원(眞明國師混元)을 스승으로 삼았다.

1246년(고종 33) 천영은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었고, 1248년 34세가 되던 해에 선사(禪師)가 되었으며, 단속사(斷俗寺)의 주지로 임명되었다. 1249년에는 최우가 창건한 창복사(昌福寺)의 주맹(主盟)이 되었으며, 선원사의 주지가 되었다. 1251년 최항은 보제사(普濟寺) 별원을 건립한 후 천영에게 주3의 선승들을 모은 법회를 주관하도록 하였다. 1252년 천영은 선원사의 주4가 되었다. 1256년 42세가 되던 해에는 대선사(大禪師)가 되었으며, 진명국사 혼원이 은퇴하면서 수선사의 법주가 되었다. 1259년 원종이 즉위한 후에 천영을 왕사로 임명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천영의 왕사 책봉 실패는 당시 수선사를 후원하던 최씨 정권이 몰락하고 왕정이 복고되면서 수선사가 퇴조하던 흐름을 보여준다. 천영은 1286년(충렬왕 12) 72세로 불대사(佛臺寺)에서 입적하였다.

문하의 제자로 굉묵(宏默), 충지(冲止), 명우(明友), 굉소(宏紹), 신화(神化), 신정(神定), 만항(萬恒) 등이 있다.

천영의 생애와 활동에서 주목되는 것은 최씨 정권과의 관계이다. 최우는 창복사(昌福寺)를 창건하고 천영에게 낙성법회를 주관하게 하였다. 또한 몽여가 입적하자 선원사 법주로 있던 혼원을 수선사의 사주로 임명하고, 그를 선원사 2세 법주로 삼았다. 선원사와 창복사는 최우가 세운 원찰이며, 최씨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대몽항쟁기 항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원이었다. 이와 같은 천영과 최씨 정권의 두터운 관계는 천영의 아버지와 이복동생이 주5의 혜택을 입고 노비를 하사받았던 사례에서도 잘 드러난다. 아버지 양택춘은 비실직품관(非實職品官)이었는데, 아들인 천영이 유명해지면서 60세에 주6 감무라는 실직을 받았고, 조청대부(朝請大夫) 예빈경(禮賓卿)으로 주7. 천영의 형제 3명도 모두 천영으로 인해 주8의 혜택을 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李益培, 「조계산제오세증시자진원오국사비명(曹溪山第五世贈諡慈眞圓悟國師碑銘)」, 『조선금석총람』 상(조선총독부, 1919)
『원오국사부택춘묘지(圓悟國師父梁宅椿墓誌)』

단행본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일조각, 1986)
조명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혜안, 2004)
조명제 외,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인물부』(혜안, 2007)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승려가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지어 주는 이름. 우리말샘

주2

선원에서, 승당(僧堂)의 앉는 자리 가운데 으뜸이라는 뜻으로, ‘수좌’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통일 신라 이후 불교가 크게 흥할 때, 승려들이 중국에서 달마의 선법(禪法)을 받아 가지고 와 그 문풍(門風)을 지켜 온 아홉 산문. 실상산문, 가지산문, 사굴산문, 동리산문, 성주산문, 사자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수미산문이다. 우리말샘

주4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이나 전ㆍ현직 고관의 자제를 과거에 의하지 않고 관리로 채용하던 일. 우리말샘

주6

현 온양

주7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 우리말샘

주8

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이나 전ㆍ현직 고관의 자제를 과거에 의하지 않고 관리로 채용하던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