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조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고려, 문종~예종 때에 선종을 부흥시킨 사굴산문의 선승.
이칭
시호
혜소(慧昭)
법명
담진(曇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혜조(慧照)는 선승으로, 법명은 담진(曇眞)이며 시호는 혜소(慧昭)다. 고려 문종, 예종 때에 활동하였는데 당시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천태종을 개창하여 선종이 위축되었다. 담진은 고려 선종계에서 북송 선종과의 교류를 통해 송의 새로운 선을 수용하였고 선종이 부흥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목차
정의
고려, 문종~예종 때에 선종을 부흥시킨 사굴산문의 선승.
내용

혜조(慧照)의 법명은 담진(曇眞)이며 시호는 혜소(慧昭)이며, 고려 문종, 예종 때에 주로 활약하였다. 담진은 1076년(문종 9)에 송에 들어가 3년간 유학을 하였다. 그가 유학하였던 시기는 약 50년 동안 단절되었던 고려와 송의 국교가 재개되었고, 당시 송의 신종(神宗)과 신법당 관료들은 고려와 연합해서 요를 공략하려는 대외 정책을 펴고 있었다. 그는 송 신종과 신법당 관료들의 후원을 받아 수도 변경에서 지내면서 당시 송 불교계의 승려들과 교유하였다.

담진은 특히 정인도진(淨因道臻)의 사상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정인은 본래 임제종의 부산법원(浮山法遠)의 법맥을 계승하였으나, 변경 정인선원(淨因禪院) 주지인 운문종의 대각회련(大覺懷璉)에게 나아가 회련의 높은 평가를 받고 정인선원의 주지로 주석하였다. 담진은 임제종, 운문종을 비롯한 북송 선종의 새로운 동향과 사상적 흐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좌선의 수행 규칙과 거란본 대장경을 구해 고려에 전하였다. 1080년(문종 34)에 귀국하여 개경선종 사찰인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고, 그 후 춘천 화악사(華岳寺), 광주 증심사(證心寺), 순천 정혜사(定惠社) 등에 머물렀다. 나아가 담진은 1107년(예종 2)에 왕사(王師), 1114년(예종 9)에 국사(國師)에 책봉되었다.

담진의 문하 제자로는 대감국사(大鑑國師) 탄연(坦然), 예종의 서자인 광지대선사(廣智大禪師) 지인(之印), 개경 광명사 주지 관승(貫乘), 예천 용문사(龍門寺) 영보(英甫) 등이 있다. 또한 이자현( 李資玄)을 비롯한 거사들과 교류하며 사상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담진이 송의 선종계와의 교류에 물꼬를 트면서, 그의 제자인 탄연은 송 임제종의 황룡혜남(黃龍慧南)을 계승한 개심(介諶)과 서신을 통해 교류하였다. 탄연이 개심에게 자신의 사위의송(四威儀頌)과 상당어구(上堂語句)를 보내 인가를 받았고, 이어 개심의 제자인 계환(戒環), 도응(道膺) 등과 교류하였다. 이러한 교류 관계를 통해 송에서 성행하던 주1이 본격적으로 고려에 수용되었고, 송의 다양한 선적을 입수하였다. 또한 계환의 법화경, 『능엄경』 주석서가 고려에 전해지고 이후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폭넓은 사상적 영향력을 미쳤다. 따라서 담진의 활동과 송 선종과의 교류는 대각국사 의천(義天)천태종을 창립하면서 침체하였던 선종이 부흥하는 계기를 마련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혜조국사진찬(慧照國師眞贊)」
『동문선(東文選)』
『보한집(補閑集)』
『三國遺事』

단행본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일조각, 1986)
조명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혜안, 2004)

논문

김상영, 「고려 중기 선승 혜조국사와 수선사」(『이기영박사고희기념논총 불교와 역사』, 1991)
정수아, 「혜조국사 담진과 정인수: 북송 선풍의 수용과 고려 중기 선종의 부흥을 중심으로」(『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1994)
조명제, 「고려후기 계환해 능엄경의 성행과 사상사적 의의」(『부대사학』 12, 부산대사학회, 1988)
주석
주1

공안을 공부함으로써 진리를 깨닫고자 하는 선(禪).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