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인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신라, 가야산 해인사의 사간장경판을 만드는 데에 공헌한 전설 속의 불교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이거인은 경상남도 합천 출신이다. 가야산 해인사의 사간장경판(寺刊藏經板)을 만드는 데 공헌한 전설적인 인물로 전한다. 온순한 성품을 지녔으며, 지금의 면장에 해당하는 이서(里胥)를 맡고 있었으므로 동네 사람들은 그를 인서(仁胥)라고 불렀다. 이 기록은 이거인의 생애라기보다는 일종의 전설로, 그로 말미암아 해인사의 사간장경이 만들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밝힌 영험담이다. 이 설화는 불교의 민간 신앙 형태를 보여 주는 자료가 된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신라, 가야산 해인사의 사간장경판을 만드는 데에 공헌한 전설 속의 불교인.
개설

이거인(李居仁)은 경상남도 합천 출신으로, 가야산 해인사의 사간장경판(寺刊藏經板)을 만드는 데 공헌한 전설적인 인물로 전한다. 온순한 성품을 지녔으며, 지금의 면장에 해당하는 주1를 맡고 있었으므로 동네 사람들은 그를 인서(仁胥)라고 불렀다.

생애 및 활동 사항

842년(문성왕 4) 그는 시체를 관에 넣어 묻고 제물을 차려서 장사를 지냈다. 846년 10월 이거인이 죽어서 주7에 갔는데 세 눈을 가진 왕이 오봉관(五峰冠)을 쓰고 심판을 하고 있다가 그를 보자 반가이 맞았다. 왕은 자신이 명부에서 허물을 지어 3년 동안 강아지로 변해서 귀양살이를 하였는데, 그때 이거인이 베풀어 준 은혜에 감사한다고 하면서 은혜를 갚을 수 있게 해 달라고 하였다. 이거인은 앞으로 명부에서 물을 말에 대한 대답을 가르쳐 줄 것을 요구하자, 왕은 이를 일러 주었다. 이거인은 그 가르침대로 염라대왕 앞에서 주3가 소중하다고 하기에 경판을 새겨서 널리 유포하려 하다가 일을 이루지 못하고 명부로 왔다.”라고 하였다. 이에 염라대왕은 명부에서 이거인의 이름을 없앤 뒤 돌려보냈다. 돌아오는 길에 세 눈을 가진 왕을 찾으니, 돌아가서 책을 매어 ‘장경판각공덕문(藏經板刻功德文)’이라 쓰고 관청에서 도장을 받아 두도록 하였다. 그가 승낙하고 물러나면서 기지개를 하고 깨어나니 한바탕의 꿈이었다. 곧 주4을 만들어 놓고 기다렸다.

847년 봄, 궁중의 공주들이 한꺼번에 병이 나서 고칠 수 없었는데, 하루는 공주들이 왕에게 불경을 제작하는 화주(化主:불사를 총 진행하는 사람)를 불러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거인이 왕궁으로 가자 세 눈 왕의 혼을 의탁받은 공주들이 왕에게 불경 간행에 시주할 것을 부탁하여 왕이 허락하자 곧 병이 나았다. 왕은 사재를 보시하고 나라 안의 여러 주5들을 모았으며, 거제도에서 재목을 내고 불경을 새기게 한 뒤 가야산 해인사에 모시고 열두 번 주6를 베풀었다. 이거인 내외는 그 뒤 편안히 오래 살다가 주8였다고 한다.

생애라기보다는 일종의 전설로서, 그로 말미암아 해인사의 사간장경이 만들어지게 되었다는 것을 밝힌 영험담이다. 이 설화는 불교의 민간 신앙 형태를 보여 주는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

단행본

논문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촌락의 하급 관리. 우리말샘

주3

삼보(三寶)의 하나. 깊고 오묘한 불교의 진리를 적은 불경을 보배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4

신자들에게 보시를 청하는 글. 우리말샘

주5

재주와 기술이 뛰어난 공인(工人). 우리말샘

주6

불상이나 경전을 받들어 모시거나, 절이나 탑 따위를 창건하였을 때 이를 기념하여 여는 법회. 우리말샘

주7

사람이 죽은 뒤에 간다는 영혼의 세계. 우리말샘

주8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나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