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척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신라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실상산문을 개창한 선승.
이칭
시호
증각(證覺)
홍직(洪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내용 요약

홍척은 신라하대에 구산선문의 하나인 실상산문을 개창한 선승이다. 당에 유학하여 서당지장의 법맥을 이었고, 초기 신라 선종의 대표적인 인물로 활동하였다. 최치원이 839년 무렵 찬술한 지증대사비에 북산(北山)의 도의(道義)와 대비되어 남악의 홍척이라는 표현이 있으므로 홍척은 신라하대에 선종이 부각되는 초기에 도의와 함께 대표적인 선승으로서의 위상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정의
신라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실상산문을 개창한 선승.
내용

홍척(洪陟)은 주7 주2의 하나인 실상산문(實相山門)을 개창한 주3이다. 그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생몰 연대, 구체적인 생애와 행적을 자세하게 알 수 없다. 그는 당에 유학하여 서당지장(西堂智藏, 735~814)의 법맥을 이었다. 홍척은 826년(흥덕왕 6)에 신라에 돌아오기 때문에 적어도 814년 이전에 당에 유학하여 10여 년 이상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주4에 머물렀고, 830년 무렵 흥덕왕(興德王)과 선강(宣康) 태자의 부름을 받아 왕실을 방문하였다. 홍척의 활동 시기와 양상을 자세하게 알 수 없지만, 그의 제자인 수철(秀澈)에 대한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수철은 처음 천종(天宗) 대덕에게 경전을 배우다가 830년대 초반 경주를 찾은 홍척을 주1 제자가 되었다. 이후 그는 설악산에 갔다가 실상사(實相寺)로 가서 홍척의 인가를 받았다. 또한 837년에 당에서 귀국한 원감현욱(圓鑑玄昱)이 실상사에 머물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홍척은 830년대에 실상사에서 활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이 839년 무렵 찬술한 지증대사비에 북산(北山)의 도의(道義)와 대비되어 남악의 홍척이라는 표현이 있으므로 홍척은 신라하대에 선종이 부각되는 초기에 도의와 함께 대표적인 선승으로서의 위상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홍척이 표방한 선은 그의 스승인 서당지장이 주6의 제자이므로 마조선의 본령을 충실하게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당대(唐代) 선을 대표하는 마조도일의 선은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이며, 일상의 있는 그대로의 마음이 도[平常心是道]라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마조는 수행을 통해 미혹한 마음을 부처의 마음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마음이 그대로 도이기 때문에 수행이 필요없다고 주장하였다. 곧 일상의 모든 행위가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고 바라보았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사고는 그것에 수반하는 실천의 형태로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대로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마조선의 핵심은 마조 문하의 선승들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쳤으며, 신라 말 고려 초의 구산선문의 대부분이 마조선을 계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조당집(祖堂集)』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崔致遠, 「유당신라국양주심원사고국사수철화상능가보월영탑비명병서(有唐新羅國良州深源寺故國師秀澈和尙楞伽寶月靈塔碑銘幷序)」(『조선금석총람』, 조선총독부, 1919)
崔致遠, 「大唐新羅國故鳳巖山寺敎諡智證大師寂照之塔碑銘幷序」(『조선금석총람』, 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이론과 실천, 1992)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조범환, 『나말여초 선종산문 개창 연구』(경인문화사, 2008)

논문

최병헌,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한국사연구』 7, 한국사연구회, 1972)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홍척을 만난 시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

주2

통일 신라 이후 불교가 크게 흥할 때, 승려들이 중국에서 달마의 선법(禪法)을 받아 가지고 와 그 문풍(門風)을 지켜 온 아홉 산문. 실상산문, 가지산문, 사굴산문, 동리산문, 성주산문, 사자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수미산문이다. 우리말샘

주3

선종의 승려. 우리말샘

주4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걸쳐 있는 산. 소백산맥 남쪽에 있는 산으로 청학동(靑鶴洞), 칠불암(七佛菴) 따위가 유명하다. 국립 공원의 하나이다. 최고봉인 천왕봉(天王峯)의 높이는 1,915미터. 우리말샘

주6

중국 당나라의 선승(709~788). 남종선(南宗禪) 발전에 공이 크며, 평상심(平常心)이 곧 도라고 주창하여 생활 속의 선(禪)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저서에 ≪어록(語錄)≫ 1권이 있다. 우리말샘

주7

신라 역사에서, 780년 선덕왕이 왕위에 오른 때부터 935년 마지막 경순왕이 물러날 때까지 156년 동안의 시기.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