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대사 ()

목차
불교
제도
고려시대에 국가에서 수여한 승계(僧階)의 하나.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국가에서 수여한 승계(僧階)의 하나.
내용

삼중대사(三重大師)는 고려시대에 국가에서 승려들에게 수여하는 승계 또는 법계(法階)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에는 선종과 교종에 공통적으로 설치된 대덕(大德)부터 삼중대사까지 명칭 상 선·교의 구분이 없었다. 삼중대사는 선종의 경우 중대사(重大師)보다 높고, 선사(禪師)보다 낮은 계위(階位)이며, 교종의 경우 중대사보다 높고 수좌(首座)보다 낮은 계위이다.

승계와 관련해서는 신라 때 이미 왕이 고승의 지위를 공인하고자 할 때 수여한 대덕과 대사(大師)라는 계위가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광종 때 승려들의 과거시험인 승과제도가 시행되며 승려들의 지위가 계서화(階序化)되기 시작하였는데, 이후 성종대에 이르러 승계가 체계적으로 확립되었다. 승과는 각 종파에서 선발하는 예비시험인 종선(宗選)과 본 시험인 대선(大選)으로 구분되는데, 대선은 교종선(敎宗選)과 선종선(禪宗選)을 각각 시행하였다. 937년(태조 20)에 세워진 「암제사대경대사현기탑비(萻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와 977년(경종 2)에 세워진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高達寺元宗大師惠眞塔碑)」 등의 음기(陰記)를 참고하면 대선을 합격하면 대덕이 되고, 그 뒤 대사와 중대사를 거쳐 삼중대사에 이르게 됨을 알 수 있다. 성종대에는 삼중대사 이후의 승계가 마련되었다. 삼중대사 위의 승계는 선종의 경우 선사를 거쳐 대선사(大禪師)에 이르게 되며, 교종의 경우는 수좌를 거쳐 승통(僧統)에 이르게 된다. 이 삼중대사 이상은 왕사(王師)나 국사(國師)가 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었다.

참고문헌

『(가산)불교대사림: 13』(이지관,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12)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2』(가산불교문화연구원 편, 1995)
『조선금석총람: 상』(아세아문화사, 1976)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원영만,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10)
「고려시대의 승계제도에 대하여」(길희성, 『규장각』7, 1983)
「고려시대의 승과제도와 그 기능」(허흥식, 『역사교육』19, 1976)
집필자
황인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