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중관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및 조선시대 왕의 시종과 궁궐의 숙위를 담당하거나 각 관사(官司)에 속해 장관을 시종하던 관인층.
이칭
이칭
성중애마, 성중아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및 조선시대 왕의 시종과 궁궐의 숙위를 담당하거나 각 관사(官司)에 속해 장관을 시종하던 관인층.
내용}

원래 성중관은 『고려사』 선거지(選擧志)에는 설치된 시기를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고려 중기경부터 그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원나라 간섭기에 몽고의 영향을 받아 성중관이라는 고려 특유의 직명과 직임이 같은 몽고어 ‘aimaq’ 혹은 ‘ayimor’의 한자 가차음(假借音)인 애마(愛馬)가 합쳐져 성중애마(成衆愛馬)로 통칭되기도 하였다. 그 밖에 성중아막(成衆阿幕) · 애마 등의 별칭으로 불렸다.

애마는 부락 · 부대(部隊) · 주현(州縣) · 단체 · 행정구역의 통치자를 가리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뒤에는 주로 숙위를 임무로 하는 관원인 동시에 특수군인층을 가리켰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대체로 성중관으로 쓰여졌다.

성중관을 형성하는 관인층은 고려시대에는 내시(內侍) · 다방(茶房) · 사순(司楯) · 사의(司衣) · 사막(司幕) · 사옹(司饔) 등 궁내직에 속했고, 따라서 국왕을 시종하고 궁궐을 숙위하는 관인층에 대한 총칭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내시 · 다방을 비롯해 가각고녹사(架閣庫錄事) · 선차방지인(宣差房知印) · 삼군녹사(三軍錄事) · 각사이전(各司吏典) 등 주로 상급서리(上級胥吏)를 가리켰다. 성중관은 궁내직이었기 때문에 고려시대부터 영직(榮職)으로 여겨왔다.

따라서, 그 선발도 엄격해 세적(世籍)에 결함이 없고 재예(才藝)와 용모가 뛰어난 자로 입속(入屬)을 허락하였다. 또한, 일정한 임기는 없었으나 대체로 만 9년이 지나면 우수한 자를 골라 품관(品官)이나 지방관에 임명하였다.

변천

그러나 고려 말기에는 군역기피자들의 피신처로 변질해 당초의 의도와는 달리 그 질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임기가 끝나면 능력에 상관없이 조관(朝官)에 제수하므로 여러 가지 폐단을 초래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세조 말년 관료체제의 정비를 계기로 그 명칭이 없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영조와 정조대에 이르러서는 왕실의 종친을 포함한 양반 출신자들로 구성되어 금위(禁衛)와 친병(親兵) 등의 임무를 맡김으로써 그 신분이 보다 향상되었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원사(元史)』
『원조비사(元朝秘史)』
『원전장(元典章)』
『여대남반고(麗代南班考)』(조좌호, 『동국사학(東國史學)』 5, 1957)
「조선초기상급서리성중관(朝鮮初期上級胥吏成衆官)-성중관(成衆官)의 녹사(錄事)로의 일원화과정(一元化過程)-」(한영우, 『동아문화(東亞文化)』 10, 동아문화연구소, 1971)
「고려사(高麗史)에 실려 있는 몽고어(蒙古語)」(민현구, 『백산학보(白山學報)』 4, 1968)
「성중애마고(成衆愛馬考)-여말선초신분계층(麗末鮮初身分階層)의 일단면(一斷面)-」(김창수, 『동국사학(東國史學)』 9·10 합집, 1966)
「高麗史に見えたる蒙古語の一解釋」(白鳥庫吉, 『東洋學報』 18-2, 1929)
「高麗兵制管見補遺」(內藤雋輔, 『靑丘學叢』 18, 1934)
Dictionnaire mongol-Russe-francais Vol Ⅰ-1(Kowalewski)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