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2책. 목판본. 1922년 8대손 한종(翰鍾)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매구(李邁久)의 서문, 권말에 한종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세계도가 있고, 권1에 시 183수, 권2에 책(策) 1편, 서(書) 2편, 잡저 1편, 서(序) 3편, 기(記) 2편, 지(識)·잠(箴)·명(銘)·송(頌) 각 1편, 상량문 5편, 권3에 축문 3편, 제문 5편, 유사·행장 각 1편, 부록으로 가장(家狀)·유사·행장·행록(行錄) 각 1편, 제문 11편, 만장(挽章) 19수, 별묘상량문(別廟上樑文), 반사동화록(泮舍同話錄), 반사동화시(泮舍同話詩) 30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권말에 조득운(曺得雲)의 시문인 『독성재일고(獨惺齋逸稿)』가 실려 있다.
시에는 「자영(自詠)」과 「자화(自和)」 등 자신의 일상적 심경을 읊은 것 외에 「증자일관(曾子一貫)」·「자사작중용(子思作中庸)」·「맹자삼숙출주(孟子三宿出晝)」·「임청화삼성(任淸和三聖)」·「십철(十哲)」 등 선현들의 행적을 소재로 도학적 심상을 읊은 이학시(理學詩)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책의 「개과불린책(改過不吝策)」은 심성론(心性論)을 전개한 논문이며, 서(書)의 「여정지수(與鄭篪叟)」 별지는 정규양(鄭葵陽)에게 상례에 대해 문답한 내용이다.
잡저 가운데 「향약증정(鄕約增定)」은 당시 침체된 향약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