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2책. 목활자본. 1904년 아들 정현(正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서문, 권말에 정현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2에 시 231수, 사(詞) 2편, 제문 13편, 통문(通文) 1편, 실행문(實行文) 1편, 상량문 2편, 서(書) 9편, 기(記) 5편, 서(序) 2편, 발(跋) 1편, 부록으로 행장과 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 및 칠언의 절구(絶句)·율시(律詩)·배율(排律)·연구(聯句) 등이 골고루 수록되어 있다. 오언절구 「동장하붕국(東墻下棚菊)」 7수에는 전원의 정취가 담겨 있어 도잠(陶潛)의 의경(意境)을 연상시킨다. 「초부(樵夫)」에도 전원의 한가한 풍경을 묘사해 저자의 은일적 취미를 표현하고 있다.
「석류(石榴)」·「풍엽(楓葉)」·「관기(觀棊)」·「노(爐)」·「서등(書燈)」·「지(紙)」·「필(筆)」·「묵(墨)」·「연(硯)」 등 영물(詠物)이 비교적 많으며, 이밖에 화답(和答)·차운(次韻)·증별(贈別)과 만시(輓詩)가 많다.
사(詞) 2편은 외손과 외손부의 효열(孝烈)에 관한 애사이다. 서(書)는 조성가(趙性家)·민치량(閔致亮) 등 친지들에 대한 안부 편지가 대부분이다.
기의 「충신박공비음기(忠臣朴公碑陰記)」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활약한 박선(朴0x9C5A)의 사적(事蹟)을 소개한 글이다.
서(序)에는 동리에 향약을 결성하면서 그 취지를 적은 「하덕곡향약규서(下德谷鄕約規序)」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