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집 ()

목차
관련 정보
속담집
속담집
구비문학
문헌
방종현이 2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1946년에 편찬한 속담집.
이칭
이칭
조한영(朝漢英) 속담집(俗談集)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방종현이 2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1946년에 편찬한 속담집.
내용

총 103면. ‘조한영(朝漢英) 속담집(俗談集)’이라고도 한다. 1946년 연학사(硏學社)에서 연학문고본(硏學文庫本)으로 발간하였다.

약 200여 수의 속담이 우리말·한문·영어의 3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배열순서는 가나다순이며 해(解)·주(註)·고(考)를 달아 내용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편자는 이 책을 발간한 동기를 우리말의 상식을 좀더 자세히 넓히기 위하여 편찬한 것이며, 한문과 영어를 학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게 하기 위함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의 영문속담 부분은 게일(Gale,J.S.)의 『사과지남(辭課指南)』(Korean Grammatical Forms, 수정증보판, 1916) 가운데에서 원문 그대로 추려낸 것이다.

또 주에 인용한 문헌은 『이담속찬(耳談續纂)』과 『송남잡지(松南雜識)』·『동언해(東言解)』·『열상방언(洌上方言)』·『순오지(旬五志)』·『오지여몽전(吳志呂蒙傳)』·『대동풍아(大東風雅)』 등이다.

참고문헌

「속담(俗談)」(김선풍, 『한국민속대관』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조선의 속담」(방종현, 『조선문화총설』, 동성사, 194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