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7대손 연간(然侃)의 편집을 거쳐 1909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박승동(朴昇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유시(遺詩) 3수, 권2는 부록으로 부조현연구(不朝峴聯句) 등 시 4편과 부조현비문(不朝峴碑文)·두문동비문·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등 두문동72현에 관계된 기록 33편이 수록되어 있다. 「술회(述懷)」·「증이어은(贈李漁隱)」·「귀송산유회(歸松山有懷)」 등 유시 3수에는 나라 잃은 슬픔과 고려왕조에 대한 단심(丹心)이 나타나 있다.
부록 중 「두문제현충렬록(杜門諸賢忠烈錄)」에는 박문수(朴門壽)를 비롯 구홍·성사제(成思齊)·조의생(曺義生)·임선미(林先味)·고천상(高天祥)·전귀생(田貴生)·이숭인(李崇仁)·이맹운(李孟芸)·전조생(田祖生)·조승숙(趙承肅)·채귀하(蔡貴河) 등 124명의 고려유신들의 이력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부조현언지록(不朝峴言志錄)』의 순서를 따르고 있는데 두문동72현의 인물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