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 ()

이암유고
이암유고
유교
인물
조선의 제11대 왕, 중종의 셋째 사위로 여성군에 봉해졌으며, 도총관 등을 역임하여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암유고』 등을 저술한 종실 · 학자 · 서에가.
이칭
명중(明仲)
이암(頤菴)
시호
문단(文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7년(중종 12)
사망 연도
1584년(선조 17)
본관
여산(礪山)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도총관
정의
조선의 제11대 왕, 중종의 셋째 사위로 여성군에 봉해졌으며, 도총관 등을 역임하여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암유고』 등을 저술한 종실 · 학자 · 서에가.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명중(明仲), 호는 이암(頤菴). 영의정 송질(宋軼)의 손자이며, 송지한(宋之翰)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의령남씨이다. 어려서 어머니가 죽자 외가에서 자랐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세에 중종의 셋째 서녀인 정순옹주(貞順翁主)와 결혼하여 여성위(礪城尉)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礪城君)에 봉해졌다. 의빈부·충훈부·사옹원·상의원 등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도총관에 이르렀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조식(曺植)·정렴(鄭𥖝)·이이(李珥)·성혼(成渾) 등 당대의 석학들과 교유하였으며,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 역할을 하였다.

글과 글씨에 능하여 산릉(山陵)의 지(誌)와 궁전의 액(額)으로부터 사대부의 비갈(碑碣)에 이르기까지 많은 글과 글씨를 남겼다. 송인은 특히 오흥(吳興)의 필법을 받아 해서를 잘 썼다고 한다. 저서로는 『이암유고(頤菴遺稿)』 12권 4책이 있다. 그의 글씨는 양주의 덕흥대원군신도비(德興大院君神道碑)·송지한묘갈(宋之翰墓碣), 남원의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부안의 김석옥묘비(金錫沃墓碑), 여주의 김공석묘갈(金公奭墓碣), 남양의 영상홍언필비(領相洪彦弼碑), 광주(廣州)의 좌참찬심광언비(左參贊沈光彦碑) 등에 전한다. 시호는 문단(文端)이다.

참고문헌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대동서법(大東書法)』
『선조실록(宣祖實錄)』
『이암유고(頤菴遺稿)』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중종실록(中宗實錄)』
『택당집(澤堂集)』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