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백진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백진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933년 후손 수형(受珩)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협(李重協)의 서문과 권말에 백형기(白亨璣)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62수, 권3에 서(書) 20편, 권4에 사실(事實), 권5는 부록으로 만사 36수, 제문 4편 및 저자에 대한 제영(題詠)·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칠언절구가 가장 많고 75수의 배율(排律)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명승을 찾아다니면서 제영(題詠)한 것이 많다. 그 가운데에서 이이(李珥)가 해주서원(海州書院)으로 부르는 꿈을 꾸고 나서 지은 「몽중작(夢中作)」이 특기할만한 작품이다.

서에는 이순신(李舜臣)에게 칼을 한 자루 내려줄 것을 부탁한 「상이통상순신서(上李統相舜臣書)」를 비롯하여 임억령(林億齡)·유희춘(柳希春) 등 당대 명인들과의 왕복 서간이 많이 들어 있다. 「기이아서(寄二兒書)」는 모두 29편이나 되는데 편지형식을 빌려 쓴 일종의 가훈서(家訓書)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