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당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변진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변진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65년 족후손 종석(鍾析)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변시연(邊時淵)의 서문과 권말에 종석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있다.

시 100수, 잡저 3편, 서(書)·제현서독(諸賢書牘)·제문·행장·사우록(師友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이 많다. 「영와(詠蛙)」에서는 우물안 개구리를 비유, 현실을 풍자하고 있고, 「둔세(遯世)」에서는 세상의 시비와 애환을 보고 듣지 않으니 차라리 장님과 귀머거리가 낫다는 역설로 현실도피적 은둔사상을 표현하였다. 「탄세인몰렴(嘆世人沒廉)」·「민세(憫世)」·「조시인구사(嘲時人求仕)」·「조수령교인(嘲守令驕人)」 등은 당시의 윤리적 타락과 한심한 세태를 개탄하는 내용의 시이다.

그밖에 「안분(安分)」·「성찰(省察)」·「신언(愼言)」·「계욕(戒慾)」 등 수신에 관한 것도 상당수 있으며, 「태극(太極)」·「궁리(窮理)」·「성정(誠正)」 등의 학문적인 내용을 주제로 한 것도 있다. 이러한 현실고발적인 시들은 당시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잡저 중의 「선조선고양세여묘설(先祖先考兩世廬墓說)」은 거상자(居喪者)가 여묘살이를 하는 동안 조석으로 상식(上食)을 올리는 문제에 대하여 이황(李滉)·이이(李珥) 등 여러 선현들의 학설에 차이가 있는 점을 상세히 논변한 글이다. 이밖에 저자의 친필 유묵으로 「경세(警世)」라는 시구를 행서체로 쓴 것이 있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