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우당실기 ()

목차
관련 정보
수우당실기
수우당실기
유교
문헌
조선시대 학자 최영경의 유고와 행장 · 묘갈명 등을 수록한 실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학자 최영경의 유고와 행장 · 묘갈명 등을 수록한 실기.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700년(숙종 26) 양천익(梁天翼)이 2권 1책으로 편집, 간행하였고, 1936년에 정영훈(鄭英壎)·김원적(金源積) 등이 『은대록(銀臺錄)』·『승정원일기』 및 선유(先儒)들의 문집 등에서 저자에 관한 사실을 모아 5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구발(舊跋) 6편과 권도용(權道溶)이 쓴 중간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수에 선조가 내린 사제문(賜祭文) 1편이 있고, 이어 권1에 시 7수, 소(疏) 1편, 공사(供辭) 2편, 서(書) 5편, 제문 2편, 권2∼5는 부록으로 유사실록(遺事實錄)·척록(摭錄)·옥중기적(獄中記蹟)·계(啓)·신리소(伸理疏)·봉안문·전지(傳旨)·행록·행장·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제문은 1594년(선조 27) 대사헌에 추증될 때 정철(鄭澈)의 관작을 추삭(追削)하면서 동시에 내린 것이다. 저자는 학문이 뛰어난 동시에 명망이 높았으나 이 책에는 약간의 유문이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시에는 「제두류산(題頭流山)」·「제가야산(題伽倻山)」 등 산경을 읊은 것이 있는데, 시재(詩才)도 상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소 1편은 「사지평소(辭持平疏)」이다.

공사 2편은 모두 저자가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그 배후인물로 지목된 길삼봉(吉三峰)이라는 인물로 무고되어 정적인 정철의 국문을 받을 때 자신의 무죄함을 주장한 내용이다. 제문에는 스승인 조식(曺植)에 대하여 쓴 「제남명조선생문(祭南冥曺先生文)」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