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집 ()

목차
관련 정보
수정집<1>
수정집<1>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변처후의 오언 절구 · 칠언 절구 시형의 작품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변처후의 오언 절구 · 칠언 절구 시형의 작품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알 수 없으며, 후손 환(瑍)과 사기(士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환의 서문이 있고, 발문의 유무는 낙장으로 인하여 알 수 없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이 책은 낙장을 제외하고 총 60장이 남아 있으며, 시 387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형(詩型)은 오언절구 74수, 칠언절구 135수로 절구가 비교적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시의 내용상으로는 유배시에 쓴 적중작(謫中作)과 생원시 및 문과에 동방급제(同榜及第)한 사람들과 창수(唱酬)한 시가 많으며, 또한 술을 소재로 한 시가 상당수 된다.

적중시에는 「상재상(上宰相)」·「상정승(上政丞)」 등의 시제로 된 것이 20여수가 되는데, 정치적인 구명활동과 관련된 시이다.

「기유구월이십팔일헌부이사당조작불뢰실봉장청죄유영월(己酉九月二十八日憲府以祠堂造作不牢實封章請罪流寧越)」을 비롯하여 「가리파도중(歌里坡途中)」·「시월초이일야반풍우폭작유회(十月初二日夜半風雨暴作有懷)」 등 80수의 적중시는 대개 과거에 동방급제한 사람들이나 같은 처지의 축신(逐臣)들과 화답한 것으로, 적소의 쓸쓸한 정경을 술회한 것들이다.

이밖에 동활자 주조를 찬양하는 내용의 「증주자소제공(贈鑄字所諸公)」이 있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