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인전비 ()

목차
서예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묘정비. 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묘정비. 비.
내용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위치한 묘정비(廟庭碑)로, 1637년(인조 15) 평양 숭인전에 세워졌다.

규장각 도서에 있는 이 비의 탁본첩을 보면, 1첩으로 7절 14면이 호접장(蝴蝶裝) 형식으로 제책되어 있으며, 서체는 조맹부체(趙孟頫體)이다. 크기는 가로 19.2㎝, 세로 31.4㎝이고 ‘東華世家(동화세가)’라 새긴 도장이 찍혀 있다.

숭인전은 1325년(충숙왕 12)에 기자(箕子)를 모시기 위하여 왕명으로 세워진 사묘(祠廟)이다. 조선 시대에 들어 세종은 이곳에 사액(賜額)을 하고 변계량(卞季良)으로 하여금 비수지사(碑樹之詞)를 지어 보내도록 하였으며, 관원을 두어 대대로 직무를 이행하게 하였다.

그 후 광해군 집정기에 예조판서 이정구(李廷龜)는 왕에게 평양의 기자사묘에 숭인전이라는 전호(殿號)를 내릴 것과 전감(殿監)을 두어 선우씨(鮮于氏) 성을 가진 사람을 뽑아 그 임무를 맡기고 그를 병역면제시킬 것을 건의하여 허락을 얻었으며, 1613년(광해군 5) 스스로 숭인전의 비문을 완성하였다.

이 비문은 당대의 명필가인 김현성(金玄成)이 쓰고, 전액(篆額)은 김상용(金尙容)이 썼는데, 비가 세워진 것은 그로부터 24년 후인 1637년의 일이다.

참고문헌

『북한의 문화유적 순례』(양태진, 백산출판사,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