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재시집 ()

목차
관련 정보
습재집
습재집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인 권벽의 시 「자탄」 · 「오탄」등을 수록하여 1608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인 권벽의 시 「자탄」 · 「오탄」등을 수록하여 1608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4권 1책. 목판본. 1608년(선조 41) 아들 필(韠)이 편집하고, 충청감사 최기(崔沂)와 공주목사 허균(許筠)의 도움을 받아 초간본을 간행하였으며, 그 뒤 1653년(효종 4) 후손 집(諿)이 공주목사로 있을 때 다시 보판하여 중간하였다.

내용 및 평가

책머리에 이정구(李廷龜)·최립(崔岦)의 서문이 있고, 끝에 집의 발문이 있다. 시 296수와 다시 보유(補遺)로 시 24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의 형식도 다양하여 고체(古體)·근체(近體) 등 중체(衆體)를 구비하였으며, 시풍(詩風)은 충담(沖澹)·전아(典雅)하다는 평을 듣는다.

그러나 「자탄(自嘆)」이나 「오탄(懊嘆)」 등은 가난과 불운 속에서 현실에 대한 비탄과 갈등을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16세기의 우리 나라 한시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