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의 관직.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의 관직.
내용

고구려 초기의 관직으로, 『삼국지』동이전 고구려조에 보이는 10관등 중 주부(注簿)·우태(優台)에 이은 제7위의 관등으로 나오고 있다. 왕의 직속관료로서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중국식 명칭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국관제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듯하다.

그러나 『후한서(後漢書)』이후의 기록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고구려의 평양천도 후 관제변경에 따라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고구려(高句麗)·신라(新羅)의 관계조직(官階組織)의 성립과정(成立過程)」(김철준, 『이병도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56 ; 『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지식산업사, 1975)
「高句麗管理制とその展開」(武田幸男, 『朝鮮學報』 86, 1978)
집필자
김용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