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통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제도
승려의 관직[僧官] 및 지위(法階)의 하나.
이칭
이칭
국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승려의 관직[僧官] 및 지위(法階)의 하나.
내용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 고려 · 조선 시대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승통이라는 말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승통은 중국 북위(北魏)에서 처음 생겨난 것으로 사문통(沙門統) · 승통 · 사문도통(沙門都統) 등 세 가지 직책을 두었으며, 문성제(文成帝) 때에는 계빈국 승려 5인을 승통으로 위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에서 승통의 이름이 처음으로 보인다. 551년( 진흥왕 12) 고구려에서 신라로 귀화해 온 혜량(惠亮)을 승통으로 삼아 교단(敎團)을 지도, 육성하게 하였으며, 이 승통 밑에 대도유나(大都維那)와 도유나랑(都維那娘)을 두어 각각 비구교단과 비구니교단을 관장하게 하였다. 이 승통제는 자장(慈藏)의 귀국과 함께 그를 대국통(大國統)으로 삼음으로써 통일 후에는 국통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다. 당시 국통은 전국 9주에 있는 주통(州統) 9명과 그 밑의 군통(郡統) 18명을 총관(總管)하였으며, 국가통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승통이 교종(敎宗)의 최고법계로 사용되었다. 국가에서 주관하는 승과(僧科)의 교종선(敎宗選)에 합격하면 대선(大選)­대덕(大德)­대사(大師)­중대사(重大師)­삼중대사(三重大師)­수좌(首座)­승통에 이르게 되는데, 승통에게는 왕사(王師)국사(國師)가 될 자격이 부여된다. 그러나 이 법계는 고려가 멸망하며 없어졌다가, 조선 중기 이후에 다시 그 이름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 때는 사찰의 책임자에 해당하는 주지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조선 말기까지 큰 사찰마다 승통이 있어 자기 관할의 승려행정을 맡아서 처리하였다.

현재 부산 동래범어사(梵魚寺)의 경우 역대 주지의 이름과 임기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주지­승통­총섭(摠攝)­섭리(攝理)­주지의 변천과정 중 승통시대가 160년간 177대에 걸쳐 가장 오래 존립하였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범어사(梵魚寺)』(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9)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