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

목차
유교
문헌
미상의 저자가, 『시경』의 주요 구절을 해설하여 2권 2책으로 엮은 유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미상의 저자가, 『시경』의 주요 구절을 해설하여 2권 2책으로 엮은 유교서.
내용

2권 2책. 필사본. 저자는 미상이며 미출간 원고본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다. 상·하 2책에 모두 1,000여 구절과 이에 대한 주석 및 해설로 구성되어 있다.

상책의 경우는 관관(關關)·요조숙녀(窈窕淑女)·오매구지(寤寐求之)·국풍(國風) 등으로 시작하여 자고재석선민유작(自古在昔先民有作)·하민유엄(下民有嚴)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요구만을 뽑아 이에 대한 주석을 붙이고 있다.

하책의 경우는 「국풍」편의 주남(周南)·소남(召南)·패풍(邶風)·용풍(鄘風)·위풍(衛風) 등에서 필요한 구절을 뽑아 해설형식으로 알기 쉽게 풀이하고 있다.

즉, 상책은 『시경』의 전편에서 중요한 요구만을 뽑아 주석을 붙인 것이며, 하책은 『시경』의 「국풍」편에 한정하여 구절을 해설한 것으로 미완성이거나 결본으로 추정된다.

각 구절의 주석이나 해설에 있어서는 주석서나 선유의 해설을 인용함이 없이, 매 구절마다 감탄사로 시작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의견으로 말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상책은 편명을 명시하지 않고 주석에 필요한 구절만을 열거하고 있으며, 하책은 편명을 명시한 다음에 해설에 필요한 구절을 수록하였다. 상·하책 모두 장수가 매겨져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