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수교집록 ()

목차
관련 정보
신보수교집록
신보수교집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수교집록』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 편찬한 법제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수교집록』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 편찬한 법제서.
내용

2권 2책. 사본(寫本). 1739년(영조 15)경에 조현명(趙顯命)이 주관하여 편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교집록』의 편찬 방식에 따라 편집한 속편으로 1694년(숙종 20)부터 1737년까지의 수교·정탈(定奪)·절목(節目)·사목(事目)을 분류하여 실었으며, 그전의 법이라도 누락된 것을 보충하였다.

『수교집록』 뒤에 나온 법령이 많고, 또 법적 제도를 이루는 것이 많아 각 전(典)의 강조(綱條)를 세분하거나 신설하였다.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전(吏典)은 경관직·외관직·천거·포폄(褒貶)·고과(考課)·급가(給假)·상피(相避)·제향·잡령(雜令)·수령·공신, 호전(戶典)은 호적·양전(量田)·녹과(祿科)·제전(諸田)·제언(堤堰)·지공(支供)·해유(解由)·수세(收稅)·조운·매매한(買賣限)·징채(徵債)·요부(搖賦)·잡령·환자(還上) 등이다.

예전(禮典)은 제과(諸科)·의장·제례·입후(立後)·혼가(婚嫁)·산송(山訟)·장권(奬勸)·반빙(頒氷)·혜휼(惠恤)·경외관영송(京外官迎送)·경외관상견(京外官相見)·잡령·대사객(待使客)·용문자식(用文字式), 병전(兵典)은 경관직·외관직·시취(試取)·도시(都試)·포폄·유방(留防)·복호(復戶)·군기(軍器)·병선·봉수·구목(廐牧)·장근·역로(驛路)·포호(捕虎)·잡령·군제(軍制)·상전(賞典)·사민(徙民)·군율·군수(軍需) 등이다.

형전(刑典)은 결옥일한(決獄日限)·수금(囚禁)·추단(推斷)·금형일(禁刑日)·남형(濫刑)·위조(僞造)·휼수(恤囚)·장도(贓盜)·용형(用刑)·성국(省鞫)·속공(屬公)·금제(禁制)·범월(犯越)·소원(訴寃)·천처첩자녀(賤妻妾子女)·공천(公賤)·사천(私賤)·살옥(殺獄)·간범(奸犯)·사령(赦令)·속량(贖良)·보충대(補充隊)·잡령, 공전(工典)은 교로(橋路)·영선(營繕)·도량형·잡령·공장(工匠) 등이다.

독립된 법령집으로 간행되지는 않았으나 『속대전』 편찬의 기초 자료가 되었다. 이본으로 『수교신보 受敎新補』가 있는데 일본인 아사우미(麻生武龜)가 소장하고 있다.

이 아사우미본(麻生本) 역시 1738년(영조 14) 경에 조현명이 편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사우미본으로 보충한 것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李朝法典考』(朝鮮總督府中樞院, 193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