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 (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

구비문학
작품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이칭
이칭
선유후부가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개설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고도 하며, 중요한 일도 잊어버린 채 재미있는 일이나 놀이에 시간가는 줄 모를 때 자주 쓴다. 한자어로 ‘선유후부가설화(仙遊朽斧柯說話)’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에 가마골, 즉 부동(釜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다.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고 전한다.

내용

옛날 한 나무꾼이 나무를 하러 산 속 깊이 들어갔다가 우연히 동굴을 발견했다. 동굴 안으로 들어가니 길이 점점 넓어지고 훤해지면서 눈앞에 두 백발노인이 바둑을 두고 있는 것이 보였다.

나무꾼은 무심코 서서 바둑 두는 것을 보고 있다가 문득 돌아갈 시간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 옆에 세워 둔 도끼를 집으려 했는데 도끼자루가 바싹 썩어 집을 수가 없었다.

이상하게 생각하면서 마을로 내려와 보니 마을의 모습은 완전히 바뀌어 있었다. 한 노인을 만나 자기 이름을 말하자, 노인은 “그분은 저의 증조부 어른이십니다.”라고 대답하더라는 것이다.

현황

6세기경 간행된 『술이기(述異記)』에는 진(秦)나라 때 왕질(王叱)이라는 나무꾼이 절강성 상류 구주의 석실산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는 서두로 시작되는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으며, 에버하르트(Eberhard, W.)가 채록한 중국 민담 중에도 우리나라의 것과 공통된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설화는 신선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도교문화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로 전파, 변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것은 전설처럼 구전되는 데 비하여 우리의 것은 완전한 민담으로 정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민담으로 뿌리를 내리기 전까지는 전설로 전해 왔던 흔적이 엿보인다.

이 설화는 속담의 유래담으로 구전되고 있지만, 이향세계(異鄕世界)를 여행하고 현세로 돌아오는 모티브가 중심이 되어 있어 이향세계설화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강재철, 『한국속담의 근원설화』(백록출판사, 1980)
손진태,『조선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A Woodcutter Who Re-turned Home after a Hundred Years‘ Absence(In-hak Choi, A Type Index of Korean Folktales, Type 300, Myong Ji University Pub, 1979)
Die Zeit Vergeht(W. Eberhard, Typen Chinesischer Volksm{{%129}}rchen, Type 103, FFC120, 1937)
집필자
최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