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기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권기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42년 아들 재화(載和)가 편집하고, 권의현(權宜鉉)이 교정, 간행하였다. 권두에 족질 권재규(權載奎)의 서문과 권말에 권의현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0수, 권2에 서(書) 25편, 제문 6편, 권3은 부록으로 행록·행장·묘갈명·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율 또는 칠률의 형식이 많으나, 절구나 배율로 된 장시도 상당수 있다. 「극기(克己)」·「성(性)」·「심(心)」 등 이학(理學)의 내용을 담은 시를 비롯하여 「영매(詠梅)」·「영춘(詠春)」·「산재우음(山齋偶吟)」 등 영물(咏物)·감회(感懷)의 시, 「전주도중(全州道中)」·「도금강(渡錦江)」·「은진석불(恩津石佛)」 등 여행 중의 풍경을 읊은 시 등 다양한 색채를 띠고 있으며, 시어가 평탄하고 전아(典雅)한 느낌을 준다.

서의 「여이양래도복(與李陽來道復)」에서는 실용의 학문을 강조하고 있는데, 선비들이 경전장구(經典章句)의 강설(講說)이나 문장사화(文章詞華)에만 몰두하고 예악(禮樂)·형정(刑政)·치병(治兵)·수리(水利)·산수(算數) 등에 등한함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