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팔상전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팔상전
하동 쌍계사 팔상전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진정국사가 창건한 사찰건물. 불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하동 쌍계사 팔상전(河東 雙磎寺 八相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2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운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진정국사가 창건한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다포식 팔작지붕건물.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1290년(충렬왕 16) 진정국사(眞正國師)가 창건하고, 1466년(세조 12) 선비대사가 중수하였다. 그 뒤에도 1678년(숙종 4) 천봉선사(天奉禪師), 1806년(순조 6) 화악선사(和岳禪師)가 보수하였다.

어간(御間은) 좌우 협간(夾間)보다 다소 넓은데, 어간에는 정면성을 강조하기 위해 협간보다 한 짝 많은 네 짝의 분합문을 달았다. 공포 배열은 기둥 간격과 상관없이 어간과 협간 모두 2구씩의 공간포를 배치하여 어간 포벽(包壁)의 간격이 넓다.

기둥은 배흘림이 미약하고 귀솟음도 뚜렷하지 않다. 처마는 장연(長椽)보다 부연(浮椽)을 길게 내밀었으나 전체적으로 건물 높이에 비해 처마내밀기가 적은 편이다.

건물의 공포는 외삼출목(外三出目) 내사출목(內四出目)이며, 첨차의 형상은 끝이 수직으로 절단되고, 밑면은 완만한 곡선의 교두형(翹頭形)이다.

첨차의 세부를 보면 공안(栱眼)이 없고 주심 소첨차와 출목 소첨차 길이가 같고 주심 대첨차와 출목 대첨차 길이도 같다. 살미첨차의 쇠서는 길이가 비교적 짧고 마구리를 수직으로 절단하여 매우 강직한 느낌을 준다.

수서[垂舌]의 윗면은 연봉과 당초무늬로 초새김[草刻]하였다. 상부구조는 5량가로, 대들보 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보를 받는 일반적인 형식이다. 건물 좌우 측면의 기둥 위에 충량(衝樑)을 걸어 놓았다.

천장은 점차 높아지는 층단형 우물천장으로 어간 중앙에는 소란반자로 처리하였고, 정상탑(頂上塔) 상부는 간단한 낙양각으로 장식하였다.

상부에는 닫집과 낙양각으로 장식하여 장엄한 느낌을 준다. 정면과 좌우 측면에는 외진주(外陣柱) 밖으로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19세기초의 다포식 불전으로 공포의 구성이 화려하며, 같은 시기의 다른 건물에 비해 쇠서가 짧고 끝이 강직한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수리보고서(文化財修理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96)
『경상남도문화재대관(慶尙南道文化財大觀)』(경상남도, 199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