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괴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대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대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806년(순조 6)에 편집되었고, 1964년 6대손 영화(永和)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규호(李奎鎬)의 서문과 권말에 이채원(李綵源)·영화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9수, 권2에 시 100수, 서(序) 2편, 기(記) 1편, 권3에 제문 10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뇌사(誄辭)·제문·가장·묘갈명·기·발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시로서, 칠언체의 절구와 율시가 가장 많으나 오언체의 율시와 절구도 상당수 있다. 시의 주제로 볼 때 증별(贈別)·차운(次韻), 그리고 영물(詠物)이나 감회의 시들이 많다.

「탁발(濯髮)」은 폭포 밑에서 머리를 감으면서 주변의 경관과 자신의 감회를 잘 조화시키고 있으며, 「자조(自嘲)」는 세월의 흐름과 자신의 무위를 회한조로 읊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시어가 평탄하고 과장이 없다.

문(文)에 있어서는 서의 「문계첩서(門契帖序)」·「괴시동안중수서(槐市洞案重修敍)」나 기의 「선고부군어대장후기사(先考府君魚臺葬後記事)」 등 주로 문중과 향리 또는 집안일에 관한 것이 전부이다. 부록에는 이재의 만사가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