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안국사지 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당진 안국사지 석탑
당진 안국사지 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안국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탑. 보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안국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탑.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받침돌은 단층으로 구성되었다. 자연석처럼 보이는 2장의 길고 큰 돌이 땅 위에 있다. 이 돌은 하대석(下臺石)으로 보이는데, 윗면에는 굄이 형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면석 역시 자연석처럼 보이는 1장의 돌로, 모서리 기둥이나 가운데 기둥을 표시하지는 않았다. 덮개돌은 2장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고 윗면에는 굄이 있지만, 그 표현은 매우 형식적이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았는데, 현재 1층 몸돌과 1~4층의 지붕돌만 남아 있다. 1층 몸돌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여러 조각이 새겨져 있다. 곧 3면에는 여래좌상(如來坐像)이 1구씩 배치되었지만, 나머지 1면에는 문비(門扉)가 조각되어, 사방불(四方佛)의 기본적인 모습은 갖추지 못하였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은 편으로, 처마 전체가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밑면 받침은 4단인데, 추녀 끝에서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가 새겨져 있다. 이로 인해 추녀 끝의 반전(反轉)은 특히 심해 보인다.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다.

이 석탑은 받침 부분의 구조가 매우 간략하지만, 특이하게도 1층 몸돌의 3면에 여래상이 조각되어 있다. 단층의 받침돌, 지붕돌 밑면의 심한 반전, 여래상의 조각 양식 등에서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규모로 보아, 원래는 몸돌과 지붕돌을 5층으로 올렸던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唐津 安國寺址 : 精密地表調査報告書』(충남발전연구원, 唐津郡 忠南發展硏究院, 2001)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문화재대관』보물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미술전집』6 석탑(황수영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高麗前期 新樣式 石佛의 展開와 造成背景」(陳政煥,『미술사학연구』 287, 2015)
집필자
진홍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