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권씨 성화보 ( )

가족
문헌
1476년(성종 7)에 간행된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족보.
이칭
이칭
안동권씨족보(安東權氏族譜), 안동권씨세보(安東權氏世譜), 성화병신보(成化丙申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5세기 중반 무렵
간행 시기
1476년(성종 12)
편자
권제(權踶), 권람(權擥), 서거정(徐居正), 박원창(朴元昌), 최호원(崔灝元)
권책수
3권 3책
권수제
안동권씨족보(安東權氏族譜)
판본
목판본
표제
안동권씨족보(安東權氏族譜) 천(天)·지(地)·인(人) 성화병신보(成化丙申譜)
소장처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안동권씨성화보』는 1476년(성종 7)에 간행된 안동권씨의 족보이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목판본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권씨의 내외손이 되는 권제, 권람, 서거정 등이 편집한 것을 경상도관찰사 윤호가 안동에서 간행하였다. 계보도에서 외손을 무제한 수록하고 자녀를 출생순으로 기재하며 여성의 재혼을 기록하는 등 조선 후기 족보와는 크게 다른 편집 방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조선 전기 중앙 관료층의 혈연 및 혼인 네트워크를 잘 보여 주고 있어서, 15세기 『문화유씨가정보』와 함께 후대 족보의 편찬에 지대한 영향을 준 자료로 평가된다.

정의
1476년(성종 7)에 간행된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족보.
서지사항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목판본 3권 3책이 소장되어 있다. 근래까지 1929년에 안동권씨 문중에서 중간(重刊)한 판본만 통용되다가, 1980년에 경상북도 안동시 도촌리 소재 도계서원(道溪書院)의 만대헌(晩對軒)에서 소장하고 있던 초간본이 서울대학교에 기증되면서 학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서문에서는 ‘안동권씨족보(安東權氏族譜)’, 계보 첫 면에는 ‘안동권씨세보(安東權氏世譜)’라는 제목이 붙어 있으나, ‘성화(成化) 12년’이라고 하는 간행 당시의 중국 연호(年號)에 따라 ‘성화보(成化譜)’라고 통칭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 초기 학자이자 관료인 서거정(徐居正)이 쓴 서문에 따르면, 그의 외조부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아들 권제(權踶)가 처음으로 소첩자(小牒子) 수준의 족보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를 권제의 아들 권람(權擥)이 크게 주1하였고, 다시 서거정과 권씨의 외예(外裔)가 되는 상주판관 박원창(朴元昌), 대구부사 최호원(崔灝元)이 함께 증보하고 잘못된 곳을 수정하여 주6 2권을 완성했다. 그 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한 윤호(尹壕)가 안동부(安東府)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의 주7 편집 방식과 이에 담긴 혈연에 대한 관념은 조선 후기 족보와 큰 차이가 있다. 조선 후기 족보는 기본적으로 동성(同姓) 인물만을 모은 계보이지만, 이 책은 남계(男系)에 한정하지 않고 아들이 아닌 딸로 이어지는 광범위한 외손을 무제한 수록하였다. 그래서 족보에 실린 9천여 명 가운데 95%는 비부계적(非父系的)인 다양한 계보로 이어지는 이성(異姓) 인물이다. 이 책의 편집과 간행에 참여한 서거정 등도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權幸)을 기점으로 여러 성씨가 섞여 있는 다양한 계보로 연결된 외손들이다. 때로는 이성의 계보를 경유해서 다시 권씨의 계보로 이어지기도 하고, 한 인물이 권씨의 시조와 연결되는 계보의 경로가 두 가지 이상인 경우도 있어서, 같은 인물이 여러 차례 반복해서 실린 예도 적지 않다.

자녀의 기재 순위도 남성을 여성보다 먼저 기재하는 ‘선남후녀(先男後女)’ 방식이 아니라 남녀 구분 없이 출생 순서를 따르고 있다. 또한 성리학적 친족 윤리에서 금기시된 여성의 재가(再嫁)도 그대로 기재하였는데, ‘전부(前夫)’, ‘후부(後夫)’ 등의 표기를 넣어 복수의 남편과 성씨가 다른 각각의 소생을 사실대로 기재하였다. 이러한 계보 편집 관행은 1565년(명종 20)의 『문화유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에서도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재산 상속에서의 균분(均分) 원칙, 제사의 윤회봉사(輪回奉祀) 등의 친족 제도에서 남녀를 크게 구별하지 않던 당시의 친족 관습이 족보에도 반영된 것이다.

이 책은 조선 전기 중앙 관료층의 가계를 망라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서거정은 서문에서 “지금 의관잠리(衣冠簪履 : 관료)로서 조정에 주2하여 드러난 자의 수가 천(千)을 헤아리는데, 모두 두 대족(大族 : 이 책에 수록된 안동권씨의 두 계파로서 후대에 추밀공파와 복야공파를 형성)의 지파(支派)”라고 하였는데, 당시 지배층이 동일 계층 내에서 주3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안동권씨의 내외손(內外孫) 범위에 대부분 포함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당시 과거 합격자의 절반 이상이 이 책에 수록되어 있음이 통계적으로 확인되는데, 이 책과 『문화유씨가정보』에서 확인되는 문과 급제자 2천여 명은 같은 시기 문과 급제자 총수의 60%가 넘는다고 한다.

한편 후삼국시대 인물인 시조에서부터 몇 세대는 안동의 향리(鄕吏) 가계로 이어지고 있어서, 고려시대 지방 세력이 문벌 가계로 전개되는 사례로서도 주목된다. 고려 초기 계보의 상당 부분은 각 세대에 한 명의 인물밖에 없는 단선(單線)으로 이어지다가, 고려 후기 중앙관직으로 진출하는 권수평(權守平: ?~1250)의 세대를 전후하여 복수의 인물이 등장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족보의 편집을 위해 참고한 계보 자료의 수록 범위에 따른 한계로서, 서거정은 서문에서 문정공(文正公) 권보(權溥: 1262~1346)와 문탄공(文坦公) 권한공(權漢功: ?~1349) 이하는 상세하고 윗대는 소략한 까닭은 ‘알 수 있는 것은 기록하고 알 수 없는 것은 빠진 채로 둔 결과’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 책은 상기한 안동권씨의 두 대표 인물을 기점으로 정리한 가승(家乘)이나 내외팔촌지보(內外八寸之譜) 등의 소규모 가계 기록을 참조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17세기 이후 안동권씨 후속 족보들과 비교해 보면, 지방 사족이나 향리층을 포함한 다수의 계파가 누락되어 있다. 현재 통용되는 안동권씨의 15개 파 중에서 추밀공파(樞密公派), 복야공파(僕射公派), 별장공파(別將公派)의 3개 파만이 수록된 것이다. 아직까지 족보 문화가 사회 저변으로 널리 확산되지 못한 사회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성씨와 본관을 같이 하는 종족(宗族) 단위의 계보를 망라한 최초의 간행본 족보로 인정받고 있다. 후대 족보에는 이보다 앞선 연대의 주4 서문이 실려 있기도 하지만, 족보 실물이 존재하지 않아 족보의 체재를 갖추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또한 1401년(태종 1)의 『해주오씨족도(海州吳氏族圖)』처럼 가계 기록의 실물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나, 낱장의 주5에 계보를 특정한 형식 없이 도식화한 것으로 족보의 형태를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성씨별 족보가 17세기 이후로 초간보(初刊譜)를 낸 점을 감안하면 선구적인 수보(修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권씨가 아닌 여러 성씨의 계보를 포괄하고 있으므로 한 세기 후에 간행된 『문화유씨가정보』와 함께 다른 성씨의 족보 편찬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여러 성씨가 혼재한 내외손(內外孫)의 통합 족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이 족보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는 중앙 관료층의 혈연 및 혼인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를 폭넓게 담고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안동권씨성화보(安東權氏成化譜)』

단행본

에드워드 와그너 저, 이훈상 역, 『조선왕조 사회의 성취와 귀속』(일조각, 2007)

논문

김난옥, 「여말선초 先祖意識과 족보편찬의 신분적 배경」(『한국중세사연구』 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김인호, 「고려후기 가문보존의식과 방식 –안동권씨가를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 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盧明鎬, 「(成化譜) 解題」(『安東權氏族譜 -成化丙申譜』(영인본), 안동권씨중앙종친회, 1992)
朴永鎭, 「안동권씨 『성화보(成化譜)』 연구」(『東洋禮學』 12, 2004)
朴龍雲, 「安東權氏의 사례를 통해 본 高麗社會의 一斷面 -‘成化譜’를 참고로 하여-」(『역사교육』 94, 2005)
柳炅來, 「文化柳氏 嘉靖譜』와 『安東權氏 成化譜』에 나타난 貞顯王后의 人的 關係網」(『한중인문학연구』 26, 2009)
李南姬, 「「安東權氏成化譜」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여성의 再嫁 문제」(『조선시대사학보』 57, 조선시대사학회, 2011)
이상국, 「《안동권씨성화보》에 기록된 이제현 가계 사람들」(『史林』 35, 수선사학회, 2010)
이상국, 「『安東權氏成化譜』에 나타난 13~15세기 관료재생산과 혈연관계」(『대동문화연구』 81,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3)
이상국·박현준, 「13~15세기 한국의 혼인, 사회적 위상, 그리고 가족계승 –안동권씨 성화보를 중심으로-」(『한국 역사인구학연구의 가능성』(손병규·김건태·박현준·조혜정·이상국·박희진·권내현·계봉오 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6)
이성무, 「한국의 姓氏와 族譜」(『한국계보연구』 1, 한국계보연구회, 2010)
이정란, 「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 - 『安東權氏成化譜』, 『文化柳氏嘉靖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李鎭漢, 「『成化安東權氏世譜』에 기재된 고려후기의 官職」(『韓國史學譜』, 고려사학회, 2006)
이희재, 「와그너의 한국족보 연구」(『東洋禮學』 12, 동양예학회, 2004)
Edward W. Wagner, 「1476年 安東權氏族譜와 1565年 文化柳氏族譜 -그 性格과 意味에 대한 考察-」(『石堂論叢』 15,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989)
Edward W. Wagner, 「歷史 資料로서의 韓國 族譜」(『인문과학연구』 5, 1999)
宮嶋博史, 「≪안동권씨성화보≫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大東文化硏究』 6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宮嶋博史, 「朝鮮の族譜について」(『朝鮮史研究会論文集』 55, 朝鮮史研究会, 2017)
權寧大, 1981, 「成化譜攷」(『學術院論文集 제20집-人文社會科學篇-』, 대한민국학술원, 1981)
주석
주1

출판된 책이나 글 따위에서 모자란 내용을 더 보태고 기움. 우리말샘

주2

전쟁이나 경기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진을 침. 우리말샘

주3

혼인을 맺음. 우리말샘

주4

예전의 족보. 우리말샘

주5

우리나라에서 만든 종이의 하나. 두껍고 질기며 질이 좋다. 우리말샘

주6

그림이나 사진을 모아 실물 대신 볼 수 있도록 엮은 책. 우리말샘

주7

조상 때부터 내려오는 혈통과 집안의 역사를 적은 책. 우리말샘

집필자
권기석(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조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