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죽산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제작된 3층 석조 불탑. 석탑.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제작된 3층 석조 불탑. 석탑.
내용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은 1966년 보물로 지정된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에서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있다. 죽산리 삼층석탑은 평면 방형의 이중 기단을 갖추고 있는 석탑이다. 현재 하층기단은 기단 갑석만 노출되어 있으며 그 아랫부분은 매몰되어 있다. 상층기단은 기단 모서리에 모퉁이 기둥인 우주(隅柱)만 모각되어 있고 가운데 기둥인 탱주는 없다. 기단 갑석 상면에는 복련 형태의 연화문이 조각되어 있다. 탑신은 초층 탑신이 높이 솟아 있어 상승감을 준다. 지붕돌에 해당하는 옥개석은 매 층마다 4단의 옥개받침을 갖추고 있다.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이 위치한 봉업사지 일대는 통일신라 말기의 혼란과 전쟁을 거치는 동안 폐허가 된 지역이다. 죽산리 삼층석탑은 상층기단 면석에 탱주가 없고 기단 갑석 상면에 복련문이 시문 된 점 등을 통해 볼 때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004년 경기도박물관에서 실시한 봉업사지 3차 발굴조사를 통해서 이 석탑의 조성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이 규명되었는데, 죽산리 삼층석탑은 9세기 통일신라 석탑의 하층 기단을 그대로 재사용하여 고려시대에 새롭게 조성된 탑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석탑의 하부 토층에서는 ‘태화 6년(太和六年, 832)’ 명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이 지역에 통일신라의 사찰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의 발굴조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현재 이 석탑이 세워져 있는 지역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평면 방형의 일반형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었다. 이 석탑은 신라 말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석탑의 기단을 제외한 다른 부재는 재사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깨지거나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삼층석탑의 기단부만을 재사용하고 나머지 부재는 새로 만들어 고려시대에 죽산리 삼층석탑을 건립하였던 것이다.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이 위치하고 있는 봉업사지가 통일신라 말기의 폐허를 딛고 다시 중수되기 시작한 것은 925년(태조 8) 고려 태조의 명으로 청주 출신 능달이 봉업사를 중창하기 시작한 때부터이다. 그러나 능달에 의한 중창이 이루어진 시기는 여전히 후삼국이 대립하고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광대한 봉업사지 일대의 사역을 모두 중창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능달의 중창은 중심 사역이었던 현재의 봉업사지 오층석탑 주변 일원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봉업사지 오층석탑 북쪽, 즉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의 폐허가 된 사역은 중창에서 제외되었다.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의 사역은 이후 광종대가 되어서야 대대적인 중창을 시작하였다. 이는 사역에서 발견되는 명문 기와와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다.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지역을 조사한 봉업사지 3차 발굴조사에서는 다량의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다. 가장 수량이 많은 기와는 ‘태화 6년’명 명문기와이다. 이 기와는 죽산리 삼층석탑 하부와 삼층석탑 주변 건물지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한편,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지역에서는 인근 봉업사지 오층석탑 주변에서 출토된 나말여초기의 기와는 출토되지 않았다. 반면에 고려 광종대와 그 이후의 명문 기와는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956년(광종7)부터 967년(광종18) 사이에 제작한 기와가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이상과 같은 점을 통해 볼 때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의 사역은 신라 하대인 832년(흥덕왕 7)에 초창 내지 크게 중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후삼국의 혼란 속에서 사찰은 폐허가 될 정도로 크게 피해를 입었다. 폐허나 다름없는 사찰을 중창한 것은 925년 능달에 의해서였다. 이때는 봉업사지 오층석탑 일원의 사역이 중수되었다. 이후 고려 초인 광종대에 이르러 봉업사지는 다시 중창되었는데, 이 시기에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 사역이 대대적으로 정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죽산리 삼층석탑은 이때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삼층석탑의 하층 기단을 재사용하여 새롭게 조성된 석탑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정성권, 학연문화사, 2015)
「경기도 내 통일신라 석불의 조성 가능성에 대한 고찰: 죽산리 석불입상을 중심으로」(정성권, 『역사와 경계』86, 2013)
「태조 왕건의 봉업사 중창과 능달」(정성권, 『한국사학보』23, 201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성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