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상주사 목조 삼세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군산 상주사 대웅전 / 삼존불
군산 상주사 대웅전 / 삼존불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서수면 상주사(上住寺)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삼불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군산 상주사 목조삼세불좌상(群山 上柱寺 木造三世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3년 05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군산시 함안로 57-29 (서수면, 상주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서수면 상주사(上住寺)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삼불좌상.
내용

상주사는 백제 무왕때 창건했다고 전한다. 고려 공민왕이 이 절을 방문해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기도를 하였는데 이로 인해 절의 이름을 ‘나라의 기둥’라는 의미에서 상주사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몇 차례 중수하였고, 근래에도 중창불사가 있었다. 현재 절의 중앙에는 대웅전과 관음전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으며 대웅전의 서편에는 나한전과 요사 등이 있다. 상주사 대웅전에 봉안된 삼불상은 아미타불 · 석가불 · 약사불로 구성되었다.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협시한 삼불의 구성은 조선 후기 사찰의 주전각인 대웅전에서만 봉안되었고, 다른 전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형식이다. 이러한 삼불 구성은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인 아미타불-중방 사바세계의 영산교주인 석가불-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인 약사불이라는 공간상의 구분에 따라 불국토를 형상화한 것이다. 삼세불이 과거불 · 현재불 · 미래불을 나타내는 시간 개념의 명칭인 반면에 상주사 대웅전에 봉안된 삼불은 공간 개념의 불상이기에 불상의 명칭은 삼신불이나 삼존불 또는 삼방불이 적절하다. 상주사 삼존불좌상은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여래상과 아미타여래상이 배치되어 있다. 규격 면에서 두 불상보다 석가여래상을 크게 제작하여 삼존불상의 주존불임을 강조하고 있다. 세 불상은 넓은 어깨, 안정감이 느껴지는 얼굴, 신체비례, 옷주름 표현 등은 동일하고 손 모습, 대의 입는 법, 승각기 표현 등에서는 서로 차이가 있다. 목조삼존불좌상은 모두 이마가 넓은 방형의 얼굴에 눈은 반개하였으며 편평하고 오뚝한 코, 단정히 다문 입 등에서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중앙의 석가여래좌상은 변형 편단우견식 대의를 입었으며 약사불과 아미타불은 통견식으로 대의를 입었다. 중앙에 위치한 석가여래좌상은 오른손을 무릎 아래로 내려뜨린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약사불과 아미타여래는 한쪽 손을 가슴 부위까지 올리고 다른 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있는데 두 불상의 손 위치가 서로 반대이다. 목조삼세불좌상은 모두 높이가 1m를 넘는 대형 목불로서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단아한 조형과 유려한 옷 주름 등을 특징으로 하는데 조선시대 목불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목조불: 2013 중요 동산문화재 기록화사업』(문화재청, 2013)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 사회평론, 2012)
『조선 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 경인문화사, 201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성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