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함광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국민문학의 성격」, 「국민문학의 문제」 등을 저술한 평론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0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황해도 신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국민문학의 성격」, 「국민문학의 문제」 등을 저술한 평론가.
생애 및 활동사항

본명은 안종언(安鐘彦). 황해도 신천 출생. 해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29년 카프(KAPF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해주지부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1930년대 초기에 농민문학론을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 비평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는 「농민문학문제에 대한 일고찰」(1931)·「농민문학문제 재론」(1931)·「농민문학의 규정문제」(1931) 등을 발표하여 백철(白鐵)과 농민문학 논쟁을 벌이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는다.

그는 처음에 빈농계급에 대한 프롤레타리아 이데올로기의 적극적 주입을 주장하다가, 이에 대한 무리를 시인하고 카프 역시 일본의 나프처럼 농민문학연구회를 두고 점진적으로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30년 중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해체를 전후하여 「창작방법문제」(조선중앙일보, 1934.6.17.∼30.)·「창작방법문제의 토의에 기하야」(문학창조, 1934.6.)·「조선푸로문학의 현단계적 위기와 그 전망」(예술, 1935.4.) 등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창작방법문제 재검토를 위하여」(조선중앙일보, 1935.6.30.∼7.4.)·「최근창작평」(조선문단, 1935.7.)·「풍자문학론 비판」(조선중앙일보, 1935.8.7.∼10.)·「인간묘사론 시비에 관하야」(조선중앙일보, 1935.11.29.∼12.3.)·「쏘시아리스틱 리얼리즘 제창후의 조선문단의 추향」(조선일보, 1936.1.3.∼10.)·「창작방법론문제 논의의 발전과정과 그 전개」(조선일보, 1936.5.30.∼6.6.) 등을 발표하면서 유물 변증법적 창작 방법의 원칙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논의를 진척시켰다.

1930년대 후반에는 「문학에 있어서의 자유주의적 경향」(동아일보, 1937.10.27.∼30.)·「현대문학정신의 모색」(동아일보, 1937.11.11.∼14.)·「조선문학의 현대적 상모(相貌)」(동아일보, 1938.3.19.∼25.)·「지성의 자율성의 문제」(조선일보, 1938.7.10.∼16.)·「지성옹호(知性擁護)의 변(辯)」(비판, 1938.11.)·「문예비평의 논리와 형태」(조광, 1939.4.)·「문학에 있어서의 개성과 보편성」(조선일보, 1939.6.28.∼7.1.) 등을 발표하였다.

또한 「조선문학의 진로」(동아일보, 1939.11.30.∼12.8.)·「작가들의 반성재료」(조선일보, 1939.11.2.∼4.)·「문학의 진실성과 허구성의 논리」(인문평론, 1939.12.)·「문예비평의 전통과 전망」(동아일보, 1940.5.5.∼5.26.)·「문예비평의 현대적 윤리」(동아일보, 1940.5.29.∼6.2.)·「‘로만’논의의 제문제와 ‘고향’의 현대적 의의」(인문평론, 1940.11.) 등 비중 있는 평문을 발표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 친일문학론의 연장선상에 있는 「국민문학의 성격」(매일신보, 1942.7.21.∼24.)·「국민문학의 문제」(매일신보, 1943.8.24∼31) 등을 남겼다. 광복 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중앙상임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월북 후에는 『조선문학사』·『문학의 탐구』 등을 출간하였다.

참고문헌

「1930년대 후반 안함광문학론의 구조」(이현식, 『민족문학사연구』 5, 창작과비평사, 1994)
「문예운동 연합전선과 동반자작가 논쟁」(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동반자작가의 성격과 위상에 관한 연구」(조남현, 『인문논총』, 서울대학교, 1992)
「1930년대 안함광문학론 연구」(구재진,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2)
「안함광군의 ‘개성과 보편성’론 중의 방법을 격함」(한식, 『비판』, 1940.1.)
「민촌 이기영과 함광 안종언」(민병휘, 청색지, 1939.5.)
「농민문학문제」(백철, 『조선일보』 1931.10.1.∼2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