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2책. 필사본. 이 책의 편집경위 및 필사연도 등은 미상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황덕순(黃德諄)의 발문이 있다.
권수에 이백원(李伯元)이 지은 안화당기(安和堂記)와 구공휴(具公休)가 지은 안화당지(安和堂識)가 있고, 권상 · 하는 시 약 450수, 잡저 6편, 제문 3편, 묘표 6편, 묘지 1편 등이 순서없이 섞여 있으며, 부록으로 저자 자신이 쓴 연보인 평생우락총록(平生憂樂總錄)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어렸을 때의 작품인 「우후화발(雨後花發)」 · 「제화(題畵)」 · 「영선(咏蟬)」 등의 6수를 첫머리에 수록하고 있는데, 저자의 시재를 짐작하게 한다.
시는 대개 서경이나 영물(詠物)보다는 서정적 감회 등을 읊은 관념시가 많다. 「추야병회(秋夜病懷)」 · 「왕소군청총(王昭君靑塚)」등은 깊은 우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월야취음(月夜醉吟)」은 서(書)나 검(劍)으로 성공을 이루지 못하였음을 한탄한 내용이다.
이 밖에도 송석원(松石園)에서 여러 시우(詩友)들과 창수한 시가 많아 저자의 시작활동의 영역을 짐작하게 한다. 「희증미기(戱贈美妓)」는 고체(古體) 9수로 되어 있는데, 서정성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잡저는 「서자필가장각법칠천자첩후(書自筆家藏各法七千字帖後)」 · 「서가장자서첩후(書家藏自書帖後)」 등 자신이 쓴 서첩에 붙인 발문이 대부분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반환 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