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척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전지의 넓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데 쓰인 척도. 양전척.
이칭
이칭
양전척(量田尺)
목차
정의
전지의 넓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데 쓰인 척도. 양전척.
내용

양전척(量田尺)이라고도 불렀다. 양지척의 운용 방법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고대에는 십지(十指)의 척도가, 고려 문종 때에는 삼동척(三同尺)이, 세종 18∼26년 사이에는 주척(周尺)이, 세종 26년(1444)부터는 주척을 기준한 육등전척(六等田尺)이, 인조 때에는 갑술척(甲戌尺)이 각각 양지척이 되었다.

또, 고려 중기에서 조선 초기까지는 전품(田品)의 상·중·하에 따라 상전척·중전척·하전척의 서로 다른 세 가지 양지척을 각각 사용함으로써 같은 단위로 표시된 전지에서 같은 분량의 조세를 거두는 동과수조(同科收租)의 법칙이 시행되었다.

세종 26년에 동과수조의 법을 없애고 양지척의 길이를 통일시키려다가 이루지 못하고 당시의 전품 6등에 따라 6등급의 양지척을 사용하던 것을 효종 4년(1653)에 이르러 종래의 1등 양지척을 기준으로 모든 양지척을 통일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신라(新羅) 및 고려(高麗)의 양전법(量田法)에 관하여」(박흥수, 학술원, 1972)
「이조척도(李朝尺度)에 관(關)한 연구(硏究)」(박흥수, 『대동문화연구』4,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