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기집설 ()

목차
관련 정보
의기집설
의기집설
과학기술
문헌
조선후기 천문학자 · 수학자 남병철이 천문기구에 구조와 사용법에 관해 1859년에 저술한 과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천문학자 · 수학자 남병철이 천문기구에 구조와 사용법에 관해 1859년에 저술한 과학서.
내용

2권 2책. 활자본.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쓰여온 천문기구에 대하여 그 구조와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내용은 혼천의(渾天儀)·통헌의(通憲儀)·간평의(簡平儀)·험시의(驗時儀)·적도일구의(赤道日晷儀)·혼평의(渾平儀)·지구의(地球儀)·구진천추령의(句陣天樞令儀)·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양도의(量度儀) 등 십의(十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주로 시계에 대한 내용인데, 정조∼철종대에도 자명종·험시의 등의 기계시계가 제작되었다는 것과 그 구조와 원리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설명 중에는 “그때 서양에서는 이미 프랑스만 하더라도 시계공이 1,000여명이나 되었고, 각종 기계시계의 연생산량이 1만2000개에 달한다.”고 하여 우리의 시계에 공장제도(工匠制度)의 아쉬움을 피력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과학기술사』(전상운, 탐구당,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