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곡용어미(曲用語尾)와 활용어미(活用語尾)의 두 종류가 있다. 곡용어미는 체언(곡용어간)에 붙고 활용어미는 활용어간에 붙는다.
체언에 붙는 곡용어미는 주로 격어미(格語尾)로서 ‘주격·관형격·목적격·부사격·접속격·호격’ 등이 존재하는데, 이들 중에 ‘부사격’은 다시 ‘여격·처소격·탈격(脫格)·조격·비교격’으로 하위 분류된다.
한편 특수 격어미가 있어 “① 나도 그 사정은 잘 안다. ② 그 사람이 고기를 많이는 잡았다. ③ 선생님이 약을 사가지고 와서는 달여까지 주신다.” 등에서 ①의 ‘도·은’은 체언에 붙고, ②의 ‘는’은 부사에 붙으며, ③의 ‘는·까지’ 등은 용언의 부사형에 붙는다. 국어의 경우, 특히 학교문법에서는 이 격어미들을 또 다른 품사로 규정하여 격조사로 다룬다.
용언어간(用言語幹)에 붙는 활용어미는 ‘종지형(終止形)·접속형(接續形)·자격형(資格形)’의 세 가지 활용형에 따라 각각 다르다.
종지형의 경우는 평서법의 ‘-는·ㄴ다, -(으)오’, 의문법의 ‘-(느)냐?, -니?, -가?, -까’, 감탄법의 ‘-구나, -네’, 명령법의 ‘-(어)라, -게, -오’, 청유법의 ‘-자, -세, -ㅂ시다’, 응낙법의 ‘-(으)마, -렴, -므나’ 등의 어미가 있는데, 이것은 또 ‘ 해라체·하게체·하오체·합쇼체’ 등의 등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실현된다.
접속형에서는 등위접속(等位接續)과 종위접속(從位接續)으로 구분되는데, “아버지는 장에 가시고, 어머니는 들에 가셨다. 아버지는 닭을 팔아서 소를 사셨다.”에서 ‘-고, -아서’ 등이 등위접속어미의 예이며, “때가 되면 돌아온다. 하품을 하니 눈물이 난다.”에서 ‘-면, -니’ 등이 종위접속어미이다.
자격형에는 부사형어미 ‘-아·어, -게, -지, -고’, 관형사형어미 ‘-는·은, -ㄴ’, 명사형어미 ‘-기, -(으)ㅁ’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용언어간에 붙어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명사형어미 ‘-기, -(으)ㅁ’은 명사와 같이 쓰이어 격어미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앞에 오는 말들과의 관계로 보면 서술어로서의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곧 “사람을 억누르기는 쉬워도 그 뜻을 빼앗기는 어렵다. 이웃 사랑하기를 제몸과 같이 하라.”에서 ‘-기는, 기를’이 바로 그것이다.
어미 중에는 어말어미(語末語尾)에 선행되어 나타나는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가 있어, 주로 시제(時制)·경어법을 표시하는데 이것은 어미에서 제외된다.
대체로 어미는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고 어간은 한 단어의 핵심적인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어미와 어간은 각각 형태부(形態部)와 의미부(意味部)에 해당된다.
고정된 어간은 문법적인 기능에 따라 각각 다른 어미를 취하는데, 이것이 바로 굴절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굴절을 보통 어미변화라고도 한다.
곡용어미는 격(格, case)을 표시하면서 곡용하고, 활용어미는 서법(敍法) 및 접속관계를 표시하면서 활용한다. 어미 부분에는 흔히 음조(音調)가 덧붙여져 의미 관계나 표현 태도를 결정짓게 된다. → 어간, 어근, 어기(語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