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에 속한다.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인지(人智)의 한계’ 또는 ‘구미호와 여의주’·‘여우 입 속의 보배 구슬’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두 가지 유형으로 대별된다.
첫째 유형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다. 한 학동이 서당을 다니다가 예쁜 처녀를 만나 사랑하게 되었다. 처녀가 입맞춤만은 허락하지 않으므로 구미호라는 것을 알게 된다. 학동은 입맞춤을 허락하지 않으면 다시는 만나지 않겠다고 위협하였다.
어쩔 수 없이 처녀가 허락하자, 학동은 처녀의 입 속에서 여의주를 꺼내 물었다. 하늘을 먼저 보았으면 하늘의 일도 잘 알게 되었을 것이나 땅을 보아서 땅 위의 일만 알게 되었다.
둘째 유형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다. 학동 100명을 입맞춤하여 죽이면 승천할 수 있다는 여우가 여자로 변신하여 한밤중에 서당을 찾아갔다. 마침 서당에서 자고 있던 100명의 학동 중 99명까지는 입맞춤을 하였으나 한 학동만은 미리 눈치를 채고 피신하였다. 여자가 매우 애통해하며 밖으로 나가자 학동이 뒤쫓아 가서 보았더니, 여자는 공동묘지의 바위 뒤로 숨어 버렸다.
학동에게 추파를 던지며 다가선 여자는 학동의 입 속에 여의주를 넣었다 빼었다 하였다. 여자가 똑같은 짓을 며칠 계속하자, 학동은 기력이 없어져 거의 죽게 되었다. 이유를 알게 된 글방 훈장이 그 여자는 필시 구미호일 것이니 그 여의주를 삼키라고 가르쳐 주었다. 이하의 내용은 첫째 유형과 유사하다.
두 유형 모두 결말 부분은 “사람들이 땅의 일은 잘 알아도 하늘의 일은 잘 모르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라고 되어 있어 유래담의 성격을 띤다.
‘구미호’에 관한 설화는 함경도·평안도·황해도 지역에 특히 많이 전승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 유형은 전승 과정 중에 특정 인물과 결부되어 전설화하는 예가 많다. 가령 안동 지방에서는 이황(李滉)의 제자인 조목(趙穆)의 일화로, 전라남도 해남 지방에서는 윤선도(尹善道)의 일화로, 충청북도 영동 지방에서는 도선(道詵)의 일화로, 경기도 양평 지방에서는 이식(李植)의 이야기로 전승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