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넘자
지명/자연지명
면적
0.59㎢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여자도(汝自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에 있는 섬이다. 여수반도와 고흥반도 사이에 있는 순천만 중앙에 있으며 섬의 면적은 0.59㎢이다. 완만한 경사의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지는 대부분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27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대체로 어업과 농업을 겸한다.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에 있는 섬.
개설

여자도(汝自島)는 동경 127° 44′, 북위 34° 47′에 위치한다. 여수반도(麗水半島)고흥반도(高興半島) 사이에 있는 순천만(順天灣) 중앙에 자리한다. 여수시(麗水市) 소라면에서 서쪽으로 6.4㎞ 지점에 있다. 면적은 0.59㎢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동쪽에는 소여자도가 있는데 대여자도와 주1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변에 동굴섬, 납계도, 동도, 매물섬 등의 무인도가 있다.

명칭 유래

섬을 중심으로 주위 섬들의 배열이 ‘여(汝)’자 형태를 이루고, 육지와 교통이 불편하여 모든 생활 수단을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였기에 ‘스스로 자(自)’를 써서 여자도라 하였다고 한다. 과거에는 ‘넘자’로도 불렸다. ‘넘’은 넘는다는 뜻이며 ‘자’는 산을 말하는 고어이다. 즉 섬의 높이가 낮아 파도가 산을 넘는다는 말로 풀이할 수 있는데, 낮은 산으로 이루어진 섬의 지형을 잘 반영한 이름이다.

자연환경

지질은 대부분 중성 화산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가 완만한 경사의 주2 산지(최고 높이 42m)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동남쪽의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해안은 대부분 주3이고, 남쪽과 북쪽에 일부 암석해안이 있으며 3개의 방파제 시설이 존재한다. 1990년부터 2022년의 방재기상관측(AWS) 자료에 따른 1월 평균 기온은 2.7℃, 8월 평균 기온은 26℃, 연 강수량은 1,442㎜이다.

현황

약 400년 전 보성 벌교에서 남원(南原) 방씨(房氏)가 섬에 들어와서 촌락을 이루었다고 한다. 2019년 기준으로 인구는 255명이 살고 있다. 취락은 북단에 있는 대동마을에 집중되며, 남단에는 마파지마을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주4와 고구마이다. 해산물로는 낙지 · 새우 · 장어가 어획되고, 갯벌에서는 주5 · 피조개 · 키조개 등이 잡힌다.

교통은 여수 소라면 섬달천에서 주6이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소라초등학교 여자분교장이 있지만 현재 휴교 중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여수통계연보』 (여수시,2021)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의 섬: 여수시, 광양시』 (이재언, 2021)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기상청 기상자료 개방 포털(data.kma.go.kr)
디지털문화 여수 대전: 여자도(http://yeosu.grandculture.net/yeosu/)
전라남도 여수 교육지원청(https://ysed.jne.go.kr/index.jne)
주석
주1

사람이나 자동차가 다니도록 놓은 다리. 우리말샘

주2

땅이 약간 언덕진 특성. 우리말샘

주3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4

맥주를 만드는 원료가 되는 보리. 우리말샘

주5

돌조갯과의 하나. 껍데기는 검은 갈색이고 달걀 모양이며 표면에는 42~43개의 부챗살마루가 있다. 살은 붉은색이며 단맛이 있다. 얕은 바다 밑의 고운 모래펄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북부,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6

나루와 나루 사이를 오가며 사람이나 짐 따위를 실어 나르는 작은 배.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