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옥도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1.59㎢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옥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옥도는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옥도리에 있는 섬이다. 섬의 형태가 ‘옥(玉)’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대체로 완만한 구릉지를 이룬다. 동쪽의 해안선은 단조로운 반면 서부의 해안선은 드나듦이 심하다. 약 70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대부분 어업과 농업을 겸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옥도리에 있는 섬.
개설

옥도(玉島)는 동경 126°01′, 북위 34°19′에 위치한다. 상조도(上鳥島)에서 북쪽으로 0.1㎞,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에서 서쪽으로 2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9㎢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북쪽으로 새섬, 서쪽으로 내병도, 동쪽으로 장죽도, 그리고 남쪽으로는 상조도를 바라본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옥도는 섬의 형태가 ‘옥(玉)’자 모양이라 하여 옥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자연환경

옥도의 지질은 대부분 산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고 높이 105m의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주1로 형성되어 있다. 동쪽의 해안선은 단조로운 반면, 서부의 해안선은 드나듦이 심해 서쪽 해안이 동쪽 해안까지 닿을 정도로 깊숙한 주2이 형성되어 섬 중앙은 지협부(地峽部)를 이루고 있다. 북쪽 해안에는 육계도(陸繫島) 상태에 이른 시야도(時也島)가 있다.

1997년부터 2022년의 방재기상관측(AWS) 자료에 의하면, 옥도의 1월 평균 기온은 3.6℃, 8월 평균 기온은 25.7℃, 연 강수량은 1,186㎜이다.

현황

2021년 기준으로 옥도에는 7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6세대이다. 취락은 중앙의 지협부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이 0.21㎢, 주3 0.95㎢로 임야가 전체 면적의 79%를 차지한다.

옥도의 주민들은 농업어업을 겸한다. 농산물은 감자 · 보리 · 마늘 · · 참깨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 꽃게 · 장어 · 넙치 · 볼락 등이 어획되며 · 파래 등이 채취된다. 또 미역의 양식이 활발하다. 교통은 목포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며 옥도항은 내병도 및 성남도와 연결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진도군 통계연보』 (진도군청, 2021)
『(한국의 섬)진도군』 (이재언, 2021)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포탈(www.coast.kr)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
주석
주1

평지와 산지의 중간 성격을 가지는, 별로 높지 않은 언덕들이 있는 땅. 우리말샘

주2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듦. 우리말샘

주3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