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홍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마도(馬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0.55㎢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홍도(連洪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에 있는 섬이다. 거금도와 금당도 사이에 위치하며 섬의 형태가 ‘ㄱ’자 모양을 하고 있다. 낮은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주로 암석 해안이 발달해 있다. 마을은 섬의 중앙부에 있는 선착장을 따라 분포하며 100여명의 인구가 대부분 어업과 농업을 겸하며 살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에 있는 섬.
개설

연홍도(連洪島)는 동경 127° 06′, 북위 34° 27′에 위치한다. 거금도(居金島)완도군(莞島郡) 금당도(金塘島) 사이에 있으며, 거금도에서 서쪽으로 0.6㎞ 지점에 있다. 면적은 0.55㎢이고, 해안선 길이는 4㎞이다.

명칭 유래

원래는 섬이 말처럼 생겼다고 해서 마도(馬島)로 불렸다.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高興郡) 금산면에 편입되면서 연홍도라 개칭되었다. 섬의 형상이 넓은 바다에 떠 있는 연(鳶)과 같이 보여 연홍(鳶洪)이라 부르지만, 한자로는 알기 쉽게 연(連)자를 쓴다.

자연환경

지질은 주로 편마암류로 형성되어 있다. 섬이 ‘ㄱ’자 모양을 하고 있다. 섬 남쪽에는 최고 높이 81m의 당산이 자리 잡고 있으며 경사가 완만한 주1 산지를 이루고 있다. 해안은 사빈 해안(沙濱 주2이 대부분이나 곳곳에 암석 해안이 나타난다. 남서쪽에 주3만(灣)이 형성되어 있고 썰물 때에는 이곳에 넓은 간석지(干潟地)가 드러난다. 1997년부터 2022년의 방재기상관측(AWS) 자료에 따른 1월 평균 기온은 3.3℃, 8월 평균 기온은 26.2℃, 연 강수량은 1,393㎜이다.

현황

약 300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10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 수는 63세대이다. 마을은 섬 중앙의 동쪽과 서쪽의 양쪽 해안에 면하여 집중해 있으며 연홍 보건 진료소(保健 주4도 섬 중앙에 위치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24㎢, 주5 0.27㎢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농산물로는 고구마 · 고추 · 무 · 양파 · 배추 · 마늘 · 참깨 등이 생산된다. 주6에서 장어 · 멸치 · 농어 · 바지락 · 등이 주로 어획되며, 굴 양식업도 활발하다.

교통은 고흥 녹동항에서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금산초등학교 연홍분교장이 있었지만 1998년에 폐교되었고, 그 자리에는 연홍미술관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재언, 『한국의 섬: 강진군 · 고흥군 · 보성군 · 장흥군』 (이어도, 2021)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요람』 (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cmmn/main.do)
해양수산부 연안포탈(https://coast.mof.go.kr/main.do)
주석
주1

땅이 약간 언덕진 특성. 우리말샘

주2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3

활등처럼 굽은 모양. 우리말샘

주4

의료 취약 지역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보건 의료 시설. 우리말샘

주5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연해와 근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