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금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절이도
지명/자연지명
규모
63.57㎢
둘레
54.0㎞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금도는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는 섬이다. 섬 전체가 금산면의 행정구역과 거의 일치하며, 그 외 10여 개 이상의 부속섬이 금산면에 포함되어 있다. 고흥군 녹동과 소록도를 연결하는 소록대교가 2009년 개통되고, 소록도와 거금도를 연결하는 거금대교가 2011년 개통되면서 고흥반도에 육로로 연결되었다.

키워드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 있는 섬.
위치

동경 127°10′, 북위 34°28′에 위치하며, 도양읍에서 남쪽으로 3.8㎞ 지점에 있다. 금산면의 주도로 섬 전체가 금산면의 행정구역과 거의 일치한다. 소록도에서는 1.6㎞ 떨어져 있다. 면적은 63.57㎢이고, 해안선 길이는 54.0㎞이다. 주변에는 연홍도, 오동도, 형제도, 죽도, 소취도, 대취도 등 많은 부속 섬들이 있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도양목장에 속한 섬으로 절이도(折爾島)라고 하였다. 이후 강진군에 편입되었다가 1896년에 광양, 낙안, 순천, 흥양에 속한 69개 도서를 병합하여 남원부 돌산군(突山郡)을 신설하면서 당시 설치된 8개 면 중의 하나인 금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 금산면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명칭 유래

지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광물 자원과 관련시키는 설이 있다. 섬에 큰 금맥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조선 중기의 문헌에 ‘거억금도(巨億金島)’라고 기록되어 있어 여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섬의 중앙에 있는 적대봉 산록에는 진막금, 전막금, 욱금, 청석금, 고락금 등의 마을 지명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금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환경

지질은 대부분 편마암류, 화강암류, 산성화산암류 그리고 중성화산암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적대봉(積臺峰, 592m), 용두봉(龍頭峰, 419m) 등 400m 이상의 산지가 있으나, 서쪽과 서북쪽은 완경사의 주2 산지로 대부분의 경지와 취락이 이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해안은 주4이 많으나 돌출한 주5 일대로는 주6을 이루고 있으며, 주7도 발달해 있다. 북쪽과 서쪽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분포하여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로 이용한다. 1월 평균기온은 1.4℃, 8월 평균 기온은 24.8℃, 연 강수량은 1,286㎜이다.

현황

2022년 12월 기준으로 인구는 4,306명(남 2,102명, 여 2,20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534세대이다. 용두봉의 북서쪽 산록에 위치한 대흥리 일대에는 금산면사무소를 비롯하여 고흥경찰서 금산파출소, 금산보건지소,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흥거금야구장을 비롯한 체육시설 등이 밀집해 있다. 이 외에도 신촌리, 월포리, 신평리, 오천리 등 해안을 따라 곡구 평지에 취락이 발달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5.02㎢, 밭 11.74㎢, 임야 42.00㎢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산물로는 , 마늘, 양파, 고구마, , , 배추 등의 농산물, 대추 등의 주8을 비롯하여 단감과 유자 등이 대단위로 재배된다. 어업에 있어 근해에서 장어, 감숭어, 전어, 도다리 등이 주로 잡히며, , 미역, , 과 광어, 전복 등의 주9도 활발하다. 해수욕장이 잘 발달해 있고, 주변에 낚시터가 많다.

2009년에는 내륙의 주10과 소록도를 연결하는 길이 1,160m의 주11가 개통되었으며, 2011년에는 소록도와 거금도를 연결하는 길이 2,028m의 거금대교가 개통되면서 거금도는 소록도를 거쳐 고흥반도와 완전히 연결되었다. 소록대교와 거금대교의 개통으로 금산면 대흥리에서 도양읍 소록리 구간이 27번 국도로 신설 개통되었다.

고흥군 내 가장 큰 섬인 거금도에는 항구도 여러 곳에 건설되어 있는데, 고흥반도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금진항은 내륙의 녹동항을 비롯하여 인근의 연홍도, 완도군에 속하는 금당도와 연결하는 배편이 운항 중에 있다. 섬의 서쪽 해안에 개설된 우두항도 금당도로 가는 배편이 들르는 곳이다. 이 외에도 신양선착장, 오천항, 명천항 등이 주12 어업선과 낚시배들이 주13 출항하는 항구로 활용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금산초등학교, 금산중학교가 있다. 1979년부터 2013년까지 운영되던 금산종합고등학교는 2014년 3월 고흥고등학교와 통합되며 폐교되었다.

문화유적

문화유적으로는 대흥리의 조개더미와 고인돌군, 송광암(松廣巖), 절이도목장성(折爾島牧場城) 등이 있다. 금진항에서는 연홍도와 금당도를 둘러보는 유람선이 운행되었는데,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확산되던 때 운행이 중단된 이후 현재에는 노선 자체가 잠정적으로 폐쇄된 상태이다. 특히 유람선이 운항되던 금당도는 주상절리를 포함한 화산지형해안지형 경관이 수려한 곳이다.

이 외에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약한 스포츠인인 김일을 기념하기 위한 김일기념체육관이 1993년 개관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2016년 개장한 고흥거금야구장은 겨울철 기온이 비교적 따뜻한 남해안 지역에 입지하고 있어 야구를 비롯한 각종 동계훈련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제62회 고흥통계연보』(고흥군, 2023)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포탈(http://www.coast.kr)
주석
주1

금을 캐내는 광산. 우리말샘

주2

땅이 약간 언덕진 특성. 우리말샘

주3

경작하는 토지. 우리말샘

주4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5

바다 쪽으로,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 우리말샘

주6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7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8

산림에서 나는 물품. 우리말샘

주9

물고기나 해조, 버섯 따위의 양식을 전문으로 하는 생산업. 우리말샘

주10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있는 항구. 1971년에 국가 어항(漁港)으로 지정되었으며, 인근 섬들을 연결하는 중심항이다. 인근에 쌍충사, 소록도 중앙 공원, 도양 해안 일주 도로 따위의 명소가 있고, 김, 미역, 다시마를 비롯한 풍성한 수산물 산지로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11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있는 녹동항과 소록도(小鹿島)를 연결하는 다리. 왕복 2차선으로 이루어진 현수교로, 2009년에 준공되었다. 길이는 1,160미터. 우리말샘

주12

연해와 근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배가 닻을 내리고 머무르다. 우리말샘

주14

구경하는 손님을 태우고 다니는 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